보존과학연구소
소개
보존과학연구소 무기재료연구실에서는 실험 및 현장 조사를 통한 국가유산의 현황진단 및 분석, 국가유산의 제작기술 연구, 보존관리 방안 연구, 출토 매장국가유산의 보존처리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분야
연구프로젝트
- 전통 제작기법 연구(철물, 도토기, 기와 등)
- 보존처리 재료 및 기법 연구
문화유산의 과학적 분석
- 첨단기기를 이용한 자연과학적 시료 분석(재질분석, 산지연구 등)
- 휴대용 분석 장비를 이용한 현장조사(금속, 벽화, 안료 등)
문화유산의 보존 및 복원
- 매장국가유산의 보존
- 지정·비지정 국가유산의 보존처리
- 전통기법을 활용한 국가유산 원형복원
전문인력 양성
- 자율적인 연구활동과 실습을 통한 연구생의 역량강화
- 전문성 및 현장성을 겸비한 우수한 석·박사 배출
연구실적
구성원
담당교수 | 정광용 교수 |
---|---|
석사과정(4명) | 김정연, 박예지, 이서현, 최지은 |
소개
유기물이란 탄소를 주된 골격으로 하여 산소, 수소, 질소, 황 등이 결합된 화합물이며 이러한 화합물로 이뤄진 유기재료에는 목재, 지류, 섬유, 접착제, 플라스틱 등이 있다. 유기재료로 구성된 국가유산은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손상요인 등으로 인해 열화가 발생되어 그 형태나 가치 등이 사라짐에 따라 보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재료보존연구실에서는 유기질 국가유산의 열화 인자 탐색 및 규명, 보존환경 연구, 최적화된 보존방안 제시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분야
- 유기질 국가유산 안전성 및 손상도 평가, 과학적 분석
- 전통 소재 분석 및 재현 연구
- 국가유산 보존환경 모니터링 및 평가, 종합관리방만 수립
- 국가유산 가해 생물 방제기술 개발
연구실적
구성원
담당교수 | 정용재 |
---|---|
연구원(2명) | 이현주 연구교수, 홍창용 전임연구원 |
석사과정(4명) | 박병진, 박세은, 허선홍, 유혜민 |
학사과정(4명) | 김서현, 한벼리, 유하은, 이윤희 |
소개
국가유산은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화가 진행된 상태로 계승된 것이 많아 주변 환경에 큰 영향을 받는다. 국가유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물리적 요인 (대기 온도, 습도, 빛 등 ), 화학적 요인 (산화, 환원, 분해 등), 생물학적 요인(식물, 해충, 곰팡이 등 ), 인적 요인(화재, 도난 등) 그리고 자연재해(홍수 , 태풍, 지진 등의 천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재질의 손상이 가속화된다. 보존환경평가실에서는 국가유산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인자를 파악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환경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국가유산의 열화와 환경인자와의 관계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분야
- 보존환경 분야(국가유산 열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에 대한 연구)
- 국가유산 분석(첨단 기기를 이용한 국가유산 비파괴 분석(회화, 안료 등))
- 박물관 전시환경(박물관 전시품 맞춤형 LED 조명 시스템 개발
연구실적
구성원
담당교수 | 강대일 |
---|---|
석사과정(2명) | 최희진, 손유라 |
소개
보존과학연구소 복원재료연구실에서는 무기질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한 보존 상태 평가 기술 연구, 보존처리 기술 연구, 복원재료 및 기술 연구 등 문화유산 복원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업무
- 보존처리 기술 연구 : 문화재의 보존상태평가 기술 연구, 다양한 기법과 재료를 활용한 보존처리기술 연구
- 복원재료 연구 : 석회 등의 전통재료와 필라멘트 등 현대재료의 문화유산 복원 적용성 연구
- 복원기술 연구 : 과거 제작기법과 현대의 과학기술을 접목한 복원 기술 활용성 연구
연구실적
구성원
담당교수 | 이상옥교수 |
---|---|
박사과정(1명) | 김민제 |
석사과정(5명) | 임한울, 최소연, 최규리, 허예니, 김채린 |
학사과정(4명) | 박해준, 김신기, 박혜리, 김효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