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닫기
대학원소개
일반대학원
국가유산전문대학원
미래문화유산대학원
일반대학원
전통건축학과
전통미술공예학과
문화유산융합학과
국가유산전문대학원
유산기술학과
디지털헤리티지학과
국제문화유산협동과정
미래문화유산대학원
도시문화경영학과
전통문화활용교육학과
한국정원문화콘텐츠학과
문화유산진단감정학과
학사안내
대학원학사일정
교육과정
교내·외장학금
증명서발급
등록안내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료실
  • 공유
    • 트위터
    • 페이스북
    닫기

전임교수

성선용 교수

  • 직위(직명) : 주임교수 , 학과장
  • 학사학위 :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조경학전공 농학사 (2009)
  • 석사학위 : 서울대학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생태조경학전공 조경학석사 (2011)
  • 박사학위 : 서울대학교 협동과정조경학 조경학전공 공학박사 (2019)
  • 담당과목 : 정원콘텐츠연구

저서

  • 2023, 공동, 『조경의 새로운 도전』, 보문당
  • 2020, 공동, 『Landscape Review: 2020, 조경의 미래를 말하다』, (사)한국조경학회

논문

  • 2023, 4인, 「기후변화가 해안 관광목적지에 미치는 영향분석-해수욕장의 활동선호일수 및 침수지역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2022, 3인, 「생태계 기반 적응 사례 조사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 정책에서의 활용 전략 연구」,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2020, 단독, 「미세먼지 농도의 공간적 현황 및 잠재영향인자를 고려한 환경계획적 대응 방향」,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2020, 3인, 「미세먼지 저감대책으로서 바람길 적용 방안: 세종시를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
  • 2020, 7인, 「기상 조건이 서울의 PM2.5와 PM10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후변화학회
  • 2020, 7인, 「지역의 미래 환경 비전 공간화를 위한 토지이용계획 시나리오 체계 연구」, 국토계획
  • 2018, 4인, 「Predict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an Invasive Species, Solenopsis invicta Buren (Hymenoptera: Formicidae), under Climate Change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s」, Entomological Research
  • 2018, 8인, 「Assessing Effective Sampling Method and Sample Size for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 2018, 3인, 「생태정보의 공유를 위한 생태정보 포털서비스(EcoBank) 구축 및 활용방안」, 생태와 환경
  • 2018, 6인, 「열수지를 활용한 서울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공간 유형화」, 국토계획
  • 2018, 4인, 「Estimating landslide susceptibility areas considering the uncertainty inherent in modeling method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 2018, 4인, 「도시 내 열환경 분석에서 무인항공기의 활용가능성」, 한국조경학회
  • 2017, 4인, 「위성영상 시공간 융합과 CASA 모형을 활용한 산지 개발사업의 식생 순일차생산량에 대한 영향 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 2017, 4인, 「위성영상 시공간 융합기법의 계절별 NDVI 예측에서의 응용」, 대한원격탐사학회
  • 2017, 4인, 「서울시 주거지역의 건축물 면적 비율에 따른 여름철 주간지표면온도 영향 분석」, 국토계획
  • 2016, 3인, 「Effect of Urban Green Spaces and Flooded Area Type on Flooding」, Sustainability
  • 2016, 4인, 「Mapping Deforestation area in North Korea Using Phenology-Based Multi-Index and Random Forest」, Remote Sensing
  • 2016, 2인, 「확률론적 모의 기법을 활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수원시 침수 발생가능성 지도 구축」, 국토계획
  • 2016, 4인, 「Estimating Net Primary Productivity under Climate Change by Application of Global Forest Model (G4M)」, Korea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 2016, 5인, 「지표면 도시열섬강도의 시공간적 분포와 영향을 주는 변수 분석: 국내 30개 도시를 대상으로」, 국토계획
  • 2015, 3인, 「연결성 분석을 활용한 산림의 주연부와 내부의 탄소저장량 비교」, 농촌계획
  • 2015, 5인, 「정규화 지수를 이용한 토지이용에 따른 도시열섬 취약지 특성분석: 대구시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 2014, 4인, 「효자배수분구의 우수유출저감을 위한 레인가든 면적 산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적용」, 국토계획
  • 2014, 4인, 「Bayesian Network를 이용한 해수면 상승에 따른 잠재적 침수위험 평가」, 국토계획
  • 2010, 2인,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유출수 변화량 산정: 2020년 과천 도시기본계획을 사례로」, 국토계획

학술/전시

  • 2023, 1인, 「Modeling Landscap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World Heritag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American Geophysical Union(AGU)

수상내역

  • 2018, 6인, NTIS Database를 활용한 생태모방기술 개발 지원체계 제공, 2018 NTIS 정보활용경진대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려상>
  • 2018, 4인, 생태정보의 통합적 활용을 위한 데이터 포털 서비스의 설계 및 구축,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포스터 최우수상>
  • 2015, 2인, 확률론적 모의 기법(Stochastic simulation)을 활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수원시 침수 발생가능성 지도 구축, 2015 수원연구논문, 수원시정연구원 <학술논문 우수상>
  • 2008, 4인, Activating Fishery Market, 2008 제5회 환경조경대전, 한국조경학회 <장려상)

기타경력

  • 2024-현재 충청북도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 2024-현재 당진시 공공디자인 위원회 위원
  • 2023-현재 세종특별자치시 지방건설기술심의위원회 위원
  • 2023-현재 충청남도산림박물관 운영위원회 위원
  • 2019-현재 한국조경학회 이사
  • 2019-현재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Reviewer
  • 2019-2021 국토연구원 국토환경·자원연구본부 부연구위원
  • 2017-2018 국립생태원 생태조사평가연구본부 전임연구원
  • 2012-2013 국토연구원 주택토지연구본부 연구원

연구비수혜

  • 2021, 국토교통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수립,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연구원
  • 2021, 환경과 조화로운 산지의 그린뉴딜 추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연구원
  • 2021, 도심환경을 고려한 폭염 저감 기술 최적화 개발(2차년도), 행정안전부, 연구원
  • 2020,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국토공간 유형구분 연구, 국토연구원, 책임
  • 2020, 도시어촌 장기추적 조사체계 구축,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책임
  • 2020-2021, 개발제한구역과 연계한 그린인프라 관리방안 연구, 국토교통부, 연구원
  • 2020-2021, LH 2030 제로에너지 분야별 비전 및 추진전략 수립 연구용역, 한국토지주택공사, 연구원
  • 2020-2021, 장항 오염정화토지 활용방안 기본구상 수립 연구용역, 충청남도, 연구원
  • 2020-2021, 한국형 그린뉴딜 국토부문 전략,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 2020-2021, 글로벌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에코스마트시티 사업추진 및 해외진출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연구원
  • 2020-2021, 서남권 내륙 수상레포츠 거점(섬진강댐) 조성을 위한 기본구산 연구용역(상하수도포함), 연구원
  • 2020-2021, 석재산업 진흥 종합게획 수립을 위한 사전연구, 산림청, 연구원
  • 2020, 댐주변지역 친환경보전 및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한 운영방안 연구(2차), 국토교통부, 연구원
  • 2020, 미세먼지 저감형 행복도시 조성 가이드라인 수립 연구용역,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연구원
  • 2019-2020,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국토・환경계획 연계 방안 연구: 바람길 적용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연구원
  • 2019-2020, 친환경・에너지 전환도시를 위한 그린 뉴딜 추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연구원
  • 2019, 산지이용실태 이슈분석을 통한 보전산지 관리방안 수립, 산림청, 연구원
  • 2019, 제5차 국토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국토교통부, 연구원
  • 2019, 생태산업도시, 서천군 미래발전 구상 및 전략계획 수립 연구용역, 서천군, 연구원
  • 2018, EcoBank 1단계 3차년도 구축, 국립생태원, 연구원
  • 2014-2016 불확도를 고려한 기후변화 적응 및 관리기술 개발,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원
  • 2013-2015 도시생태계 적응・관리 기법 및 지원시스템 개발,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원
  • 2013, 연수구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연수구, 연구원
  • 2012, 새로운 패러다임의 산지정책연구, 국토연구원, 연구원

김영모 교수

  • 직위(직명) : 겸무교수
  • 학사학위 : 1989 서울시립대 조경학과/학사
  • 석사학위 : 1991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대학원/조경학석사
  • 박사학위 : 1998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대학원/공학박사
  • 연구실 : 대학원연구동(온지관) 414-2호
  • 전화번호 : 044-830-4700
  • 메일보내기

저서

  • 2008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2009 동양조경문화사
  • 2012 알기쉬운 전통조경시설사전
  • 2013 한국의 전통적 미의식을 찾아서
  • 2016 Progress in Cultural Heritage : Documentation, Preservation, and Protection

논문

  • 2016, 김영모,오준영, 「종묘 지당(池塘)의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문화재,국립문화재연구소
  • 2016, 김영모,오준영,「조선시대 판장(板墻)에 관한 연구」,문화재,국립문화재연구소
  • 2015, 김영모,「역사적 랜드마크를 고려한 고도 부여의 경관관리방안 연구」,한국경관학회지, 한국경관학회
  • 2015, 김영모,오준영,「근대기 전라북도 지방관아의 쇠퇴에 관한 연구」,문화재,국립문화재연구소
  • 2013, 김영모,「서원경관의 보존관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한국경관학회지,한국경관학회
  • 2013, 김영모,「한국의 전통조경 미의식에 관하여」,동양고전연구,동양고전학회
  • 2011, 김영모,이재용,김충식,「누적가시도 분석을 이용한 신라시대의 산성 입지와 감시체계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한국전통조경학회
  • 2011, 진양교,김영모,김해경,김연금,「백제정원을 주제로 한 리조트 외부 공간 계획」,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0, 이동주,김영모,「경주읍성 남문의 형태 및 규모추정에 관한 연구」,전통문화논총, 한국전통문화학교
  • 2010, 김홍곤,김영모,「경주읍성 성곽시설의 원형고증에 관한 연구」,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 2010, 김홍곤,김영모,「서울 도화동 원림유적에 대한 고찰」,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7, 김영모,「전통정원의 보존 및 복원원칙 설정을 위한 시론적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6, 김영모 외 2명,「고도보존지구 분류를 위한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6, 김영모 외 1명,「부소산성 발굴유적과 유구의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5, 김영모,「화성행궁 조경시설물의 고증 및 복원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5, 김영모,「조선시대 서원의 조경」,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4, 김영모 외 3명, 「화성행궁의 식생경관 복원을 위한 고증과 복원방향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4, 김영모 외 1명,「조선시대 능역 공간의 식재 및 관리 사실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4, 김영모 외 1명,「고증을 토대로 한 서오릉 능역시설의 정비방안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3, 김영모,「시짓기와 원림 조영방법에 관한 연구 - 소쇄원사십팔영을 통해본 소쇄원의 조영방법을 중심으로」,한국전통조경학회지,2003.06.
  • 2002, 김영모 외 1명,「신산사상에 영향 받은 전통 조경문화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고대시대의 조경문화를 중심으로」,한국전통조경학회지,2002.09.
  • 2001, 김영모 외 1명,「전통마을의 승경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1, 김영모 외 1명,「조선시대 종묘와 사직의 구성관념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0, 김영모,「중국의 궁실제도와 조선시대 궁궐의 영역분할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1998, 김영모 외 2명,「조선시대 궁궐 건물명의 명명 특성」,동신대학교 논문집, 동신대학교
  • 1998, 김영모,「조선시대 사묘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학연구, 서울시립대학교
  • 1998, 김영모 외 1명,「조선시대 궁궐공간의 관념적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1994, 김영모,「서울시 주민의 근린 여가시설 선택모형을 기초로 한 시설지 배분에 관한 연구」, 서울학연구, 서울시립대학교
  • 1994, 김영모 외 3명,「대도시 주민의 옥외 여가활동 선택모형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1993. 김영모 외 5명,「서울시 주민의 선호 옥외여가시설 추출 및 이용빈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1993. 김영모 외 5명,「퇴계집을 통하여 본 도산서당의 조영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논저

특허

학술/전시

수상내역

  • 한국도시설계학회 전라감영 현상설계공모 우수상(2012.07.)
  • 한국전통조경학회 우수논문상(2005.01.)
  • 한국전통조경학회 우수논문상(2004.01.)
  • 한국정원학회 우수논문상(2003.01.)
  • The Werner Weber Award(EuroMed 2016)

기타경력

  • 1993~1996 서울학연구소 선임연구원
  • 2009~2011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학과장
  • 2013~2015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학처장
  • 2014~2014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장직무대리
  • 2015~2017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장
  • 2018~2022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장

연구비수혜

  • 전통문화 전문인력 양성 특성화 방안 연구

김충식 교수

  • 직위(직명) : 겸무교수
  • 학사학위 :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이학사 (1995)
  • 석사학위 :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조경학석사 (1998)
  • 박사학위 : 서울시립대학교 공학박사(조경) (2004)
  • 담당과목 : 조경계획, 한국정원설계, 전통조경캡스톤디자인, 문화재환경분석
  • 연구실 : 온지관 414-2호
  • 전화번호 : 041-830-7375

저서

  • 2015, 공동, 『디지털유산-문화유산의 3차원 기록과 활용』, 시그마프레스
  • 2011, 단독, 『PIRANESI 2010 활용백서』, 도서출판과학기술
  • 2009, 공동, 『스케치업 드로잉 바이블』, 도서출판과학기술
  • 2006, 단독, 『겸재, 스케치업 5.0을 만나다』, 이엔지북
  • 2006, 단독,『피라네시 4.0』, 도서출판과학기술

논문

  • 2022, 3인,「문화재수리의 조경분야 공공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22, 2인,「동궐도 판장의 공간통제 효과에 관한 연구」, 문화재
  • 2021, 2인,「근현대기 창덕궁 후원의 동선 변화에 관한 연구」, 문화재
  • 2021, 2인, 「창덕궁 선정전 와룡매의 환수 문화재로서의 문화콘텐츠적 가치」, 문화재
  • 2021, 2인,「한칸형 전통 사각정자의 지붕부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1, 3인,「문화재의 전통조경설계용역 발주실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2인,「광주시 서구 만귀정 원림의 경영과 역사경관 변천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2인,「아산시 주거지역의 문화재에 대한 범죄예방환경설계에서 주민의 활동성 강화 사례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 2020, 2인,「숲가꾸기 사업과 흰개미 피해를 받은 문화재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문화재
  • 2020, 3인,「이용성을 고려한 3차원 시각노출도 지표의 개발」, 한국경관학회지
  • 2019, 3인,「조경분야 BIM 도입을 위한 세부 공종 도출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 및 경관계획 연구소 휴양및경관연구지
  • 2018, 2인,「경회루 권역의 식재경관 원형고증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 2018, 2인,「SNS 사진과 사진측량을 이용한 정원유산의 3차원 형상 재현 가능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18, 2인,「창덕궁 전각권역의 해설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18, 단독,「보존 및 활용을 고려한 명승의 분류 체계 연구」, 한국경관학회지
  • 2018, 2인,「조계산 선암사(명승 제65호) 표면배수 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 2017, 단독,「3D 시각노출도를 이용한 문화재 범죄예방환경의 평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17, 2인,「시지각강도를 고려한 명승 구역설정에 관한 연구」, 문화재
  • 2017, 2인,「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의 3차원 기록화를 통한 포토그래메트리의 유용성 연구」, 문화재
  • 2016, 단독,「경관심의의 정립을 위한 경관조례 개선방안 연구, 한국경관학회지」, 한국경관학회지
  • 2015, 2인,「3차원 시각노출도를 이용한 문화재의 조망통제효과 연구」, 한국경관학회지
  • 2015, 3인,「역사적 랜드마크를 고려한 고도(古都)부여의 경관관리 방안」, 한국경관학회지
  • 2015, 단독,「목조 건축문화재의 범죄예방설계 평가지표에 대한 기초연구」, 문화재

학술/전시

  • 2020, 단독, 잊혀진 사람들을 위한 뉴딜,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2인, 궁궐을 기반으로 한 한국 전통 정원 문화의 대중화 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2인, 국가정원 모델 개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2인, 포토그래케트리 기술을 이용한 궁궐 조경시설물의 3D 모델 제작 가능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2인, 초연결성 기반 전통조경의 비대면 강의 모델 개발 연구-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2인, 단칸형 전통정자의 형태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3인, 창덕궁 내 점경물의 소재 변화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숲 가꾸기 사업과 문화재를 가해하는 흰 개미 피해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문화유산 환경의 디지털 3차원 기록화 방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광주시 서구 만귀정(晩歸亭) 원리의 역사경관 변천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빅데이터를 이용한 소쇄원의 인식분석과 활용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조경전문잡지에 나타난 퍼걸러의 디자인 경향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일본 동경도(東京都) 정원명승 관리계획 사례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경복궁 후원 정비계획,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구)목포공장 근대문화유산 공원조성계획,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3인, 도봉서원 일원 각석군의 장소정체성과 문화경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3인, 우복 정경세의 우곡잡영 20수에 묘사된 경관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3인, 택당 이식의 택풍당 경영과 동계팔경,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8, 3인, 전통조경공간 내 수목에 의한 물리적 피해 발생 요인과 관리방향 제언, 한국환경조경학회연합
  • 2018, 2인, 활동성 강화를 통한 범죄예방환경설계 적용방안 연구, 한국환경조경학회연합
  • 2017, 2인, 현대 한옥 조경 진흥을 위한 한옥 관련 법률 및 제도 개선 방안연구, 한국환경조경학회연합
  • 2017, 2인, 디지털포토그래메트리를 이용한 전통조경시설물의 3D정보 기록화 연구 -담양 소쇄원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조경학회연합
  • 2017, 3인, 쾌적(comfort)공간 조성을 위한 BIM기반, 한국환경조경학회연합
  • 2016, 2인, 누적가시도를 이용한 명승 구역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6, 2인, 경관조례의 실효성 향상 방안 모색, 한국경관학회
  • 2015, 2인, 명승의 보존.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유형 세분화 연구, 한국경관학회

수상내역

  • 2016.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세종우수도서학술도서 선정, 『디지털유산-문화유산의 3차원 기록과 활용』, 시그마프레스

기타경력

  • 2020-(현재) (사)한국전통조경학회 기술부회장
  • 2020-(현재) 국토교통부 대전지방국토관리청 자문위원
  • 2019-(현재) 충청남도 문화재 전문위원
  • 2019-2020 (사)한국조경학회 산학협력집행이사 및 편집위원, 논문심사위원
  • 2019 (사)한국경관학회 편집위원 및 심사위원
  • 2018-2019 (사)한국전통조경학회 편집위원 및 논문심사위원
  • 2017-2019 세종특별자치시 건설기술심의위원회 위원
  • 2017-2019 문화재위원회(천연기념물분과)전문위원
  • 2017-2019 충청남도 문화재 전문위원
  • 2017-2019 아산시 공공디자인 진흥위원회 위원
  • 2016-2018 오산시 경관위원회 위원
  • 2015-2016 조달청 기술용역 기술제안서 및 기술자 평가서 평가위원
  • 2014-2018 동계올림픽 자문위원회 위원
  • 2014-2016 인천광역시 경관위원회 위원
  • 2014-2016 국토교통부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기술자문위원(경관분야)
  • 2014-2016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녹색건축인증심의위원회 심의위원
  • 2014-2016 문화재청 고도 미래 정책위원회 위원
  • 2014-2016 한국전통조경학회 편집위원
  • 2014-2015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 설계자문위원
  • 2013-2017 한국경관학회 상임이사
  • 2013-2015 원주지방환경청 환경성평가 자문위원
  • 2012-2018 강릉시 경관위원회 위원
  • 2010-2013 한국도시설계학회 편집위원
  • 2009-2013 강원도의회 관광건설부문 자문
  • 2008-2015 원주지방환경청 자연경관심의위원
  • 2007-2013 한국도로공사 경관설계 자문위원
  • 2006-2013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부교수
  • 2006-2012 행정중심복합도시 경관설계 자문위원
  • 2004-2005 서울학연구소 특별연구원
  • 2004 서울시립대학교 공학박사(조경)
  • 2002-2006 LET 경관계획연구소장
  • 1999 조경기술사사무소 ARTEC 과장
  • 1995-1999 ㈜쌍용엔지니어링 조경기술부 사원

연구비수혜

  • 2019, 궁능 전통조경 용어 조사 및 해설 연구, 문화재청, 책임
  • 2019, 조선왕릉길 조성 인프라 구축 연구용역, 문화재청, 책임
  • 2017, 명승 유형별 보존관리방안 연구, 문화재청, 책임
  • 2016, 유휴공간 활용 마을쉼터 조성사업, 산청군, 책임
  • 2015, 부여 송국리유적 종합정비계획, 부여군, 공동
  • 2015, 경관심의제도 개선방안 및 경관심의위원회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연구, 책임
  • 2013, 명활산성 종합정비 기본계획 수립 용역, 경주시, 공동
  • 2012, 청주시 야간경관 기본계획, 청주시, 연구원
  • 2011, 충청 수영성 재정비계획, 보령시, 연구원
  • 2011, 저탄소 녹색성장형 공원전략 연구, 국토해양부, 연구원
  • 2010, 한강 역사․문화적 시원지 복원사업 기본계획, 평창군, 책임
  • 2010, 동해시 도시림 등 조성․관리계획, 동해시, 책임

이선 교수

  • 직위(직명) : 명예교수
  • 학사학위 : 충남대학교 임학과 학사 (1981)
  • 석사학위 :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 식물생태학 석사 (1992)
  • 박사학위 :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 식물생태학 박사 (1997)
  • 담당과목 : 한국정원연구

저서

  • 2023, 번역,『괴테의 식물변형론』, 이유출판
  • 2021, 번역,『나무신화』, 수류산방
  • 2020, 단독,『식물에게 배우는 네 글자』, 궁리
  • 2019, 단독,『풍류의 류경, 공원의 평양』, 효형출판
  • 2019, 번역,『정원사를 위한 라틴어 수업』, 궁리
  • 2012, 단독,『우리의 자연유산이야기』, 창비
  • 2009, 단독,『한국의 자연유산』, 수류산방
  • 2006, 단독,『우리와 함께 살아온 나무와 꽃』, 수류산방
  • 1999, 공저『숲이 있는 학교』, 이재

논문

  • 2021, 단독, 일제강점기 창경궁 장서각(구 이왕가박물관) 주변의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20, 단독, '손기정 월계관 기념수'에 대한 소고 -히틀러 참나무의 진실-, 한국조경학회지
  • 2018, 단독, 우리나라 벚꽃 놀이의 역사와 벚꽃 축제에 관한 소고(小考),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2017, 3인, 창덕궁 전각 주변의 수목도복에 따른 피해범위 예측, 한국조경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14, 단독, 명승 제60호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의 식재 원형 및 식생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11, 2인, 백제의 고도(古都) 부여 성흥산성(聖興山城)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 2009, 4인, 부여 석성산성의 식생 구조 및 관리 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 2008, 단독, 우리나라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의 연원(淵源)과 제도(制度)에 관한 소고(小考),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06, 2인, 서오릉(西五陵)의 식생 현황과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05, 2인, 창덕궁 노거수(老巨樹)의 수령 측정 및 생육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05, 3인, 서울 왕릉지역의 산림환경변화가 토양 이ㆍ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 2004, 4인, 화성 행궁의 식생경관 복원을 위한 고증과 복원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04, 2인, 고증을 토대로 한 서오릉 능역시설의 정비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04, 4인, 서오릉의 산림군락구조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 2004, 단독, 왕릉의 소나무, 숲과 문화 총서
  • 2003, 6인, 신갈나무림의 식생구조와 생태적지,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 2003, 단독, 궁궐 속의 숲과 물 : 청계천(淸溪川)의 원류(源流), 숲과 문화 총서
  • 2002, 6인, 2002 년도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조림, 생태 분야: 참나무류 주요수종의 식생구조와 생태적지-굴참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를 증심으로,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 2002, 5인, 남한강 상류 평창군 일대의 하천변 식생,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2002, 2인, 전통 사적공간의 경관관리를 위한 생태환경 분석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을 중심으로-, 환경생물학회지 (환경생물)
  • 2001, 4인, 자연생태관 조성을 위한 식물자원 조사연구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노동리를 중심으로-,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2001, 6인, 계룡산국립공원 내 군사보호구역의 산림식생, 한국생태학회지

학술/전시

  • 2021, 3인, 전주 꽃심 지방정원 기본계획,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1, 3인, 보령 '비림'공원 기본계획,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1, 3인, 문화유산을 활용한 인천국제공항 밀레니엄 홀 계획,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1, 3인, 수목 음파 단층촬영을 통한 외과수술 영향 진단,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1, 3인, 국립세종수목원 한국전통정원 해설프로그램 개발,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단독, 북한 자연유산의 현황과 과제, 문화재청
  • 2019, 2인, 노거수 수림지 천연기념물 재해예방 메뉴얼 개발,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경복궁 해설프로그램의 조경요서 개선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

수상내역

  • 2022. 대한출판문화협회,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10종 선정, 『나무신화』, 수류산방
  • 2021, 한국출판문화진흥원, 세종도서 2021 상반기 선정, 『식물에게 배우는 네 글자』, 궁리
  •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 우수저술상, 『식물에게 배우는 네 글자』, 궁리
  • 2020, 숲과 문화 연구회, 저술상 『식물에게 배우는 네 글자』, 궁리
  • 2020. 한국조경학회, 우수저술상, 『풍류의 류경, 공원의 평양』, 효형출판
  • 2019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세종우수도서학술도서 선정, 『풍류의 류경, 공원의 평양』, 효형출판
  • 2013. 학교도서관저널, 도서추천위원회가 선정한 추천도서, 『우리의 자연유산이야기』, 창비
  • 2012. 한국과학창의재단, 우수과학도서 선정, 『우리의 자연유산이야기』, 창비

기타경력

  • 2021 - 2022 문화재청 문화재위원(궁능문화재분과)
  • 2014 - 현재 한국전통조경학회 상임이사
  •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 역임
  • 국립수목원 겸임연구관 역임

연구비수혜

  • 2016, 동궐(창덕궁, 창경궁)의 주요 식생 분석 및 가림시설 원형고증 연구, 공동연구원
  • 2015, 부여 송국리유적 종합정비계획, 부여군, 공동연구원
  • 2014, 국가지정 명승 유형별 보존 및 활용 방안 연구, 문화재청, 공동연구원
  • 2010, 천연기념물(식물)상시관리(주치의)제도 도입을 위한 조사연구, 문화재청, 연구원
  • 2004, 광릉 산림생태조사 연구, 문화재청, 책임연구원
  • 2003, 서오릉 산림생태 조사연구 보고서, 문화재청, 책임연구원
  • 2002, 창덕궁 종묘 원유, 문화재청, 공동연구원

이재용 교수

  • 직위(직명) : 겸무교수
  • 학사학위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공학사(2006)
  • 석사학위 : 밀라노공과대학교 공학석사(2010)
  • 박사학위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공학박사(2019)
  • 담당과목 : 조경학개론, 한국조경강론, 조경문화재정비계획, 전통조경시설설계, 조경구조및시공

저서

  • 2009, 공동, 『스케치업 드로잉 바이블』, 도서출판과학기술

논문

  • 2022, 단독,「The Changes of Panseokbo in Seyeonji Pond at Yun Seon-do's Garden on Bogildo Island」,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2022, 2인,「국가민속문화재의 실측도면을 통해 살펴본 고택 정원의 기록화 경향 분석」, 문화재
  • 2021, 2인, 「조경잡지의 광고로 살펴 본 퍼걸러 디자인의 유형변화 연구」, 한국경관학회지
  • 2021, 3인, 「문화재의 전통조경설계용역 발주실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21, 2인, 「근현대기 창덕궁 내 주요 점경물의 실상과 변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20, 단독, 「1930년대 창덕궁평면도의 제작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경관학회지
  • 2020, 3인, 「이용성을 고려한 3차원 시각노출도 지표의 개발」, 한국경관학회지
  • 2018, 단독, 「명승 종합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 및 계획 항목의 도출에 관한 연구」, 문화재지
  • 2018, 단독, 「3차원 시각노출도를 이용한 전주 풍남문의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의 경관 관리 효과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18, 단독,「<동궐도>의 러버쉬팅변환을 통한 창덕궁 돈화문 지역의 입체적 식생경관 추정」, 문화재지
  • 2018, 2인,「앙코르 유적에서 식생정비 사업의 양상과 특징에 관한 연구; 프레아 칸 사원, 반테이 스레이 사원, 타 프롬 사원을 중심으로」, 문화재지
  • 2017, 2인,「러버쉬팅변환을 통한 <동궐도>의 평면도 제작 가능성 연구」, 문화재지
  • 2015, 3인,「역사적 랜드마크를 고려한 고도(古都) 부여의 경관관리방안」, 한국경관학회지
  • 2011, 3인,「누적가시도 분석을 이용한 신라시대의 산성 입지와 감시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11, 3인,「명활산성 주변의 산림경관 관리를 위한 시곡면(示曲面)과 누적가시도(累積可視度)분석기법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학술/전시

  • 2023, 3인, 영양 서석지 옥성대의 석축 쌓기 변화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1, 3인, 영양 서석지 지안(池岸)의 조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1, 4인, 한국조경분야에서 수목입면 표현기법 변천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1, 3인, 보길도 윤선도 원림의 판석보(板石洑) 변화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정원박람회 작품에 나타난 한국성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문화재수리기술자(조경) 시험의 출제 경향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조선왕릉 문화재 안내판 개선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근현대기 창덕궁 후원의 동선 변화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문화재 실측설계 사업의 발주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사진을 통해 본 근대기 창덕궁의 식생 관리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8, 캄보디아 앙코르 유적 프레아피투 사원 복원정비사업 - 프레아피투 사원의 수목경관 정비-, 한국국제협력단, 한국문화재재단, 문화재청
  • 2017, 창덕궁 전각 주변의 수목도복에 따른 피해범위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조경학회연합
  • 2016, Applcability of 3DVE Indicator for Cultural Heritage Landscape Management, Euromed2016
  • 2016, 경관조례의 실효성 향상방안 모색, 한국경관학회
  • 2015, 명승의 보존관리 정책수립읠 위한 유형세분화, 한국경관학회
  • 2013, 고도(古都) 부여의 역사문화환경지구 경관가이드라인 설정, 한국도시설계학회
  • 2013, 누적가시도 분석을 이용한 신라시대 산성 입지와 감시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수상내역

  • 2023, 3인, 세계유산 화성 융건릉 영향검토구역 및 경관영향평가 기준 설정, (사)한국전통조경학회<우수논문발표상>
  • 2022, 3인, 문화재구역의 3차원 수목위험지도 제작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우수논문발표상>
  • 2021, 3인, 창덕궁 관람지 및 목교 복원 계획, 한국전통조경학회 <우수작품전시상>
  • 2021, 3인, 수목 음파 단층촬영을 통한 외과수술 부위의 영향 진단, 한국전통조경학회 <우수작품전시상>
  • 2020, 3인, 근현대기 창덕궁 후원의 동선 변화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우수논문발표상>
  • 2020, 2인 문화재수리기술지(조경) 시험의 출제 경향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 <우수논문발표상>
  • 2016, 2인, Applcability of 3DVE Indicator for Cultural Heritage Landscape Management, Euromed2016 <우수논문상>
  • 2016, 2인, 경관조례의 실효성 향상방안 모색, 한국경관학회 <우수논문상>
  • 2013, 3인, 누적가시도 분석을 이용한 신라시대의 산성 입지와 감시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우수논문상>

기타경력

  • 2021-현재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궁능문화재분과)
  • 2023-현재 전남개발공사 기술자문위원회 위원
  • 2021-현재 충청남도 문화재 위원
  • 2020-현재 (사)한국전통조경학회 이사
  • 2022-현재 충청남도 계약심사 심의위원
  • 2020-2022 국토교통부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기술자문위원
  • 2020-2022 당진시 공공디자인 위원회 위원
  • 2019-2021 아산시 경관위원회 위원
  • 2019-(현재) (사)한국전통조경학회 이사
  • 2019 (사)한국조경학회 논문심사위원
  • 2015-2019 (주)조경기술사사무소 LET 부설 전통조경연구소 소장
  • 2015-2019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시간강사
  • 2013-2015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초빙교원
  • 2012-2013 (주)제이피건설 대리
  • 2011-2012 (사)한국전통조경학회 사무국장
  • 2010-2011 (주)송도건설 주임
  • 2006-2008 (주)동광 주임
  • 2006 (주)조경기술사사무소 LET 사원
  • 문화재수리기술자(조경), 문화재청

연구비수혜

  • 2019, 궁능 전통조경 용어 조사 및 해설 연구, 문화재청, 공동연구원
  • 2019, 조선왕릉길 조성 인프라 구축 연구용역, 문화재청, 공동연구원
  • 2019, 파야똔주 사원 생물피해 조사 및 보존방안 연구, 한국문화재재단, 연구원
  • 2019, 백제금동대향로 기초 콘텐츠 개발 연구, 백제고도문화재단, 연구원
  • 2017, 문화재수리기술자 자격시험 신설과목 기초연구 용역, 문화재청, 객원연구원
  • 2017, 명승 유형별 보존관리방안, 문화재청, 연구보조원
  • 2016, 캄보디아 앙코르 유적 내 프레아피투 복원정비사업, 한국문화재재단, 연구보조원
  • 2016, 동궐(창덕궁, 창경궁)의 주요 식생분석 및 가림시설 원형고증 연구, 문화재청, 연구보조원
  • 2015, 경관위원회 운영 가이드라인(안) 작성 연구, 국토교통부, 연구보조원
  • 2015, 부여 송국리유적 종합정비계획, 부여군, 연구보조원
  • 2014, 국가지정 명승 유형별 보존 및 활용 방안 연구, 문화재청, 연구보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