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닫기
대학원소개
일반대학원
국가유산전문대학원
미래문화유산대학원
일반대학원
전통건축학과
전통미술공예학과
문화유산융합학과
국가유산전문대학원
유산기술학과
디지털헤리티지학과
국제문화유산협동과정
미래문화유산대학원
도시문화경영학과
전통문화활용교육학과
한국정원문화콘텐츠학과
문화유산진단감정학과
학사안내
대학원학사일정
교육과정
교내·외장학금
증명서발급
등록안내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료실
  • 공유
    • 트위터
    • 페이스북
    닫기

교수소개

김영재 교수

  • 직위(직명) : 주임교수
  • 학사학위 :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 석사학위 : 한양대학교 건축학과, M.S.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artment of Architecture
  • 박사학위 : Ph.D.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artment of Architecture
  • 담당과목 : 세계유산보존관리론, 세계유산수리복원철학, 동서양건축역사이론비교, 서양건축기술사, 건축문화유산 보존철학론, 근대문화재수리기술, 근대문화재 보존·활용, 역사도시보존과 활용, 근대도시비교, 전통도시비교, 역사도시 정비·재생, 도시형태론과 역사도시복원
  • 연구실 : 대학원 종합연구관 415호
  • 전화번호 : 041-830-4762
  • 메일보내기

저서

  • 2020 몽골건축(번역서), 하나 (ISBN 979-11-85083-29-2 93540)
  • 2020 온라인건축용어사전(저서)/대한건축학회 네이버 http://dict.aik.or.kr/
  • 2018 회암사의 건축 Ⅵ, “청규로부터 본 회암사지의 건축적 특성과 그 의미,” 연구총서,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34-74.
  • 2017 회암사의 건축 Ⅴ, “동아시아 선종사원에서 회암사의 의미와 가치” 양주: 회암사지박물관, 8-49.
  • 2016. 서울특별시, 서울 건축투어맵, ISBN: 9791156219071
  • 201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Architecture Guide to Seoul, Seoul Architecture Tour with Global Citizens, ISBN: 9791156219088
  • 2015, 기문당, 김영재 외 19명, 『和而不同의 동아시아 건축도시사 : 동아시아 건축과 도시에 대한 젊은 학자들의 관점』, ISBN: 9788962256987
  • 2014, 수원박물관, 『약진 水原』, ISBN: 9788994537627
  • 2013, 수원화성박물관, 공동:김영재,이달호,최정준,채미희,어준일,하수완,이경미, 『팔달문 가까이 늘 우리 곁에』, ISBN: 9788994537474
  • 2013, 수원시 화성사업소, 공동:김영재,이유나,임인수,하명찬, 『팔달문 오늘 다시 문을 열다』, ISBN: 9788996294429
  • 2012, 수원화성박물관, 공동:김영재,이영혁,왕려영,이민식,신응수,임재해,오선화,오가와미츠오, 『한·중·일 전통목조건축 大木匠의 세계』, ISBN: 9788994537429
  • 2011, 수원화성박물관, 공동:김영재,오동희,오선화,한동수,이달호, 『마음으로 그린 꿈 역사로 이어지고』, ISBN: 9788994537276
  • 2002, 『격자형 도시 변천도』, 아이싱크출판사

논문

  • 2021 보존철학의 전개에 따른 역사문화도시 정비 사례 연구, 보존철학의 전개에 따른 역사문화도시 정비 사례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7(1) 93-105.
  • 2020 건축문화유산의 비평적 복원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6.9, 41-50
  • 2020 "일제강점기 부소산 영역의 공간변화와 인식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6.6, 75-86.
  • 2020 “근대역사경관의 보존과 집단기억 : 오타루시 산업유산경관을 사례로”, 국토계획 제55권 제2호, 29-43
  • 2019 “Reconsidering a Proportional System of Timber-Frame Structures through Ancient Mathematics Books: A Case Study on the Muryangsujŏn Hall at Pusŏksa Buddhist Monastery”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18(5), 457-471.
  • 2019 “Design Principles of Early Stone Pagodas in Ancient Korean Architecture: Case Studies on the Stone Pagodas at Chŏngnimsa and Kamŭnsa Buddhist Temples.” Religions 2019, 10, 208.
  • 2019 "국내 근대 학교건축에서의 대학고딕 양식의 수용."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5, no. 11, 89-100.
  • 2018 “Application of and Changes in Construction Principles and Joint Methods in the Wooden Architecture of the Joseon Era: A Case Study on the Sungnyemun Gate in Seoul”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Volume 17 Issue 2 191∼198
  • 2018 "보존과 복원 개념의 변증법적 해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4, no. 12 135-144.
  • 2018 “동서양의 접점에서 파빌리온의 기원과 전개: 소아시아와 인도대륙 사이에서”, 동양예술 38호, 35-61
  • 2017, 「Tectonic Traditions in Ancient Chinese Architecture, and Their Development」,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vol.16, No.1.
  • 2016 , 「역사도시의 가치평가를 통한 재생방안 연구」, 세계유산, 수리복원, 재생, 그리고 부여, 부여학 6호.
  • 2016, 「생태환경 변화에 대비한 세계유산의 역할에 대한 연구」, 세계유산, 수리복원, 재생, 그리고 부여, 부여학 6호.
  • 2016, 「Discussing Architecture and the City as a Metaphor for the Human Body: From Marcus Vitruvius Pollio, Leon Battista Alberti, Andrea Palladio to Other Renaissance Architects」, Architectural Research, Vol.18, No.1.
  • 2016, 「서양의 일본건축문화에 대한 인식과 해석」,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통권 제 53호.
  • 2015, 「서양의 동아시아 건축도시 역사이론에 대한 연구동향과 특징」, 화이부동의 동아시아 건축도시사.
  • 2015, 「역사도시경관으로서 부여 관북리 백제유적과 (구)부여박물관의 가치」, 백제, 김수근, (구)부여박물관, 부여학 5호.
  • 2015, 「김수근 부여박물관의 전통논쟁과정 소고」, 백제, 김수근, (구)부여박물관, 부여학 5호.
  • 2015, 김주범,(교신)김영재,한영우,장은정,김종범,이은혜, 「전통건조물 보존을 위한 수장고 도입과 그 활용방안 연구」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통권 제 49호.
  • 2015, 「Camillo Sitte’s Urban Design Language and its Influence upon Adolf Loos’s Raumplan」, Architectural Research, Vol.17, No.1.
  • 2015, 「Reconsidering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tupa」,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17, No.1.
  • 2014, 「Revisiting the Vāstupuruṣamaṇḍala in Hindu Temples, and Its Meanings」, Architectural Research, Vol.16, No.2.
  • 2014, 「중국 고대 도성계획에서 중축선의 형성과 그 의미」,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2.
  • 2014, 「중국 고대도성계획에서 宗廟․社稷의 배치와 그 의미」,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2.
  • 2013, 김영재, 김득수, 「호서은행본점의 입지배경과 그 도시적 의미」,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5.
  • 2013, 「나카무라 요시헤이의 서양건축양식의 수용과정과 그 의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19, No.5.
  • 2011, 「Evolution, Transformation, and Representation in Buddhist Architecture」, Architectural Research, Vol.13, No.4.
  • 2010, 김영재, 한동수, 「조선은행 해외지점의 설립배경과 건축적 의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26, No.9.
  • 2007, 김영재, 김득수, 한동수, 「일제강점기 근대도시의 도시공간구조와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8, No.3.
  • 2002, 「도시 주거지 근린관계분석을 위한 방법론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18, No.11.
  • 2001, 김영재, 한동수, 동정근, 최정환, 「해방 이후, 서울과 평양의 도심공간구조와 그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17, No.10.
  • 2000, 「사회주의 국가의 농촌취락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16, No.9.

학술/전시

  • 2020 서평: 나무로 집 지은 이야기만은 아니랍니다 를 읽고 재해석하며, 건축역사연구, Vol.29 No.5
  • 2020 고대건축의 해석과 재현 토론, 한국건축역사학회, 국립문화재연구소
  • 2020 고전수학과 석조건축과 목조건축의 설계원리, 월간한옥 26호
  • 2020 고전수학과 영건체계, 월간한옥 26호
  • 2020 동아시아의 텍토닉<Tectonic>, 월간한옥 25호
  • 2020 강원도, 충정도 지역 언어의 건축 관련 어휘에 대한 고찰,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 2020 Historic Urban Landscape Approach에 기반 한 전후복원 문화유산의 재맥락화 및 가치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 2020 오픈 빌딩 이론을 통한 근대건축자산의 보존활용 방법론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 2020 역사도심에서 일어나는 개발행위에 대한 문제점과 방향성,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 2019 건축 및 도시 유산의 보전 및 관리 제안, 아시아 태평양 문화유산연구,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전, 142-143.
  • 2019 아시아·태평양 전통재료 및 기술공법 DB구축, 아시아 태평양 문화유산연구,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전, 98-140.
  • 2019 The Construction of Database for Asia-Pacific Traditional Materials and Technique -DB Construction for Asia-Pacific Traditional Materials and Technique, International Journal of Asian-Pacific Heritage Studies, Sustainable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90-119
  • 2019 Suggesting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Architectural and Urban Heritage, International Journal of Asian-Pacific Heritage Studies, Sustainable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120-129
  • 2019 "장성 황룡마을 회덕헌답사기." 한옥문화 2019년 여름 통권 54호: 78-79.
  • 2019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현대한옥의 새로운 모델,” 한옥문화 2019년 여름 통권 54호: 32-65
  • 2019 "유산해석(Heritage Interpretation)의 개념과 활용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301-304.
  • 2019 “문화재 해석 방법으로서 알레고리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대회.
  • 2019 "유산영향평가의 등장배경과 전개에 관한 고찰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171-174.
  • 2019 “수원팔경의 역사도시경관변화에 관한 연구 - 수원천을 중심으로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대회.
  • 2019 “제주 원도심의 지속가능한 보전을 위한 제언”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대회.
  • 2019 "천안문 광장의 교훈: 기념물, 중축선, 혁명, 그리고 일상의 공간." 건축 63, no. 4 42-45.
  • 2018 “지속 가능한 근대유산의 보존과 복원, 그리고 활용전략”, 건축 Vol.62 No.03 63-68.
  • 2018 “건축문화유산의 지속 가능한 보존을 위한 제언”, 건축 Vol.62 No.03, 10-11.
  • 2018 “증강현실의 현황과 건축문화유산에서의 활용 방안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 2018 “마을 유산의 가치 인식과 보존 방법론에 대한 비평적 고찰”,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 2018 “통의동 35번지 필지분할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 2018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의 세계유산 등재 이후 현황과 문제의식”,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125-128.
  • 2018 “용인 천주교 유적의 보존과 활용 : 은이성지, 고초골 공소를 중심으로”, 용인 천주교유적 학술토론회, 89-124.
  • 2017,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tress System in the Joseon Era」, Proceedings of the 2017 icEAAC, Jeju, Korea.
  • 2017, 「The Conceptual Development of the Pure Land Architecture」, Proceedings of the 2017 icEAAC (The 2017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st Asian Architecture and City), Jeju, Korea.
  • 2017, 「문화유산의 진정성」, 용어와 건축, 건축, Vol.61, No.3.
  • 2017, 「비평쓰기: 역사와 이론 사이」, 건축, Vol.61, No.2.
  • 2016, 「용산, 땅이 입을 열다」,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
  • 2016, 「한옥정책의 현재와 미래」, 건축, Vol.60, No.8.
  • 2016, 「Ankor Conservation in Siem Reap, Cambodia」(번역), 건축역사연구, Vol.25, No.1.
  • 2016, 「세계유산, 수리복원, 재생, 그리고 부여- 부여 밖에서 본 세계문화유산」, 부여학 6호.
  • 2016, 「수원화성 중심부 공간구조 변화와 의미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 2016, 「익선동 한옥주거지 형성배경과 필지분할과정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 2013, 「서사시 속의 공간·건축, 공간·건축 속의 서사시」, 광주 아시아문화마루 전시실.
  • 2013, 「라마야나의 길」, 다큐멘터리 상영, 광주 아시아문화마루 전시실.
  • 2007, 「일상의 재생과 보존: 필라델피아의 소사이어티 힐(Society Hill)의 사례를 통해서」, 건축, Vol.51, No.5.
  • 2007, 「The Meaning of Four Cardinal Directions and Center in the Buddhist Monastery」, the 36th ANNUAL MAR/AAS CONFERENCE,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MD, USA.
  • 2004,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Neighborhood-relationship after Squatter Settlement’s Redevelopment in Urban Area」, the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rchitectural Interchanges in Asia, Japan.
  • 2003, 「세계의 격자형 도시변천」, 월간 건축인 포아 POAR, 2003-01~2003-08.
  • 2002,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Origin and the Mentality of Gridiron City in the East and the West」, 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rchitectural Interchange in Asia, Chongqing, China.

연구비수혜

  • 2020 정림사지 박물관 백제불교 콘텐츠 구축 건축디오라마 복원계획, 부여 정림사지 박물관,
  • 2020 조선시대 오례의 유·무형 가상콘텐츠 및 서비스 플랫폼 개발, 화성행궁 봉수당 건축고증 및 모형, 문화재청
  • 2020 부여군 생활문화자료조사 쌍북리, 책임연구원, 백제고도문화재단
  • 2020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특화도시 조성방안 연구, LH토지주택박물관
  • 2020 건축문화재 기후변화와 신종재난, 책임연구원, 국립문화재연구소
  • 2020 성균관과 문묘 및 유사유산 기초현황조사, 서울특별시
  • 2020 안성 구포동성당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신청 보고서, 안성시
  • 2019 대곡천 암각화군 역사관광자원화 사업, 울산광역시
  • 2018 우당 6형제 생가복원 및 기념관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 및 예비타당성 조사
  • 2016, 한옥가치 발굴을 위한 전통건축 디지털 컨텐츠 구축- 고(故) 장기인 선생 소장자료.
  • 2016, 창덕궁 주합루 정밀실측 조사보고서.
  • 2015-16, 문화유산 진정성 측면에서 본 역사도시의 형태와 한옥의 정의: ‘건축구법/재료’와 ‘공간형태’의 통-공시적 해석을 바탕으로.
  • 2015-16, 문화유산 진정성 측면에서 본 역사도시의 형태와 한옥의 정의: ‘건축구법/재료’와 ‘공간형태’의 통-공시적 해석을 바탕으로.
  • 2015, 세종대로 역사문화공간 설계공모 관리용역.
  • 2015, SEJONG DAERO HISTORIC CULTURAL SPACE DESIGN COMPETITION OPERATION GUIDELINE 세종대로 역사문화공간 설계공모 운영지침 (한글, 영어).
  • 2013, 아시아 대서사시 관련 공간-건축 문화의 가치발굴과 자원수집 사업.

이종욱 교수

  • 직위(직명) : 겸임교수
  • 학사학위 : 2010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관리학 학사(문학사)
  • 석사학위 : 2012 카이스트 문화기술학 석사(공학석사)
  • 박사학위 : 2019 카이스트 문화기술학 박사(공학박사)
  • 담당과목 : - 디지털문화유산개론, 문화유산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문화콘텐츠기획, 디지털문화유산과스토리텔링 https://fhlknuch.wixsite.com/my-site
  • 연구실 : 대학원 종합연구관 216호
  • 전화번호 : 041-830-4768
  • 메일보내기

논문

  • 2019, Jongwook Lee, Junki Kim, Jaehong Ahn, Woontack Woo, "Context-aware risk management for architectural heritage using historic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virtual reality",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CIE)
  • 2019, Jongwook Lee, Junki Kim, Jaehong Ahn, Woontack Woo, "Remote Diagnosis of Architectural Heritage Based on 5W1H Model-Based Metadata in Virtual Reality",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SCIE)
  • 2019, 이종욱, 우운택, "3차원 지도 연동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스마트 관광 현황 및 전망", 한국통신학회지 ‘정보와 통신’
  • 2019, 이종욱, "가상박물관 저작을 통한 문화유산 교육에 관한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2019. 이종욱, "한국건축문화유산의 유지보수를 위한 온톨로지 기반 추천시스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2019, 이종욱, "가상현실에서 건축문화유산의 위험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2019. 이종욱, "디지털 문화유산 국내외 정책 분석 및 개선 방안 제안",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2019, 이종욱, "무용 동작 기록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2018, 이종욱, 박현아, 박강아, "지역 문화유산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관광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2017, 이종욱, 이지현, "한국 전통춤의 전승 및 보급을 위한 이러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HCI학회 논문지(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2016, JiHyung Lee, Jongwook Lee, Jae Woo Kim, Kyung-kyu Kang, Man Hee Lee, "VIRTUAL RECONSTRUCTION AND INTERACTIVE APPLICATIONS FOR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S", SCIentific RESearch and Information Technology Journal (SCIRES-IT Journal)

특허

  • 2018, 증강현실 콘텐츠 가시화 및 공유를 위한 메타데이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 2015, 보수 이력을 반영하는 디지털 건축 문화재 파일포맷 표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학술/전시

  • 2019, 이종욱, "건축문화유산의 관리를 위한 가상증강현실 기술의 활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콜로키움
  • 2019, 이종욱, "HBIM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해외사례 소개", 2019 국제문화재산업전
  • 2018, Jongwook Lee, Junki Kim, Jaehong Ahn, Woontack Woo, "Mobile Risk Management for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in Korea using HBIM and VR", Digital Heritage 2018 congress
  • 2018, 이종욱, "디지털 시대의 무형유산 발표 토론", 무형유산학회 2018 추계학술대회
  • 2016, Jongwook Lee, Aram Min, Jihyun Lee, "An Intuitive Heritage Education System for Learning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Styles", eCAADe (Education and research in Computer Aided Architectural Design in Europe)
  • 2016, 김재우, 강경규, 이만희, 이종욱, 이지형, "블록형 구조물 자동 생성 및 구축 시스템 개발", 2016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 2016, 이종욱, 이지형, 이지현, "XML을 이용한 디지털 건축문화유산 콘텐츠 저작 도구", 2016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 2015, Jongwook Lee, JiHyung Lee, Jae Woo Kim, Kyung-Kyu Kang, Man Hee Lee, Boncheol Goo, "Time-based Database for Creation of Korean Traditional Wooden Building", Digital Heritage 2015 congress
  • 2014, Jongwook Lee, Boncheol Goo, "A Study on the E-Learning for Korean Traditional Danc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irtual Systems & Multimedia (VSMM 2014)
  • 2014, Jongwook Lee, Kyung-Kyu Kang, Jae Woo Kim, JiHyung Lee, Boncheol Goo, "TouchBIM : A Touch Screen Kiosk for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Wooden Building", International Euro-Mediterranean Conference (EuroMed) 2014
  • 2014, Jongwook Lee, JiHyung Lee, "The Digital Heritage Simulation Technology for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s", Museums and the Web Asia (MWA) 2014, Demo
  • 2013, Jongwook Lee, Boncheol Goo, "Study on the synchronous e-learning platforms for dissemination of traditional dance", Digital Heritage 2013 congress
  • 2013, Sung-il Park, Jongwook Lee, Doowon Yoo, Boncheol Goo, An approach to the reduction of time delay in a networked performance, Asia Pacific Advanced Network (APAN)
  • 2012, 이종욱, 박성일, 구본철, 네트워크 공연 시스템 구성에 관한 사례 연구, Dancing Across Oceans를 중심으로, 한국공학예술학회
  • 2012, Jongwook Lee, Joonhyun Lee, Boncheol Goo, Experiment on the e-learning of traditional dances through the utilization of stereoscopic, Asia Pacific Advanced Network (APAN)
  • 2011, Seongtaek Lim, Joonhyun Lee, Jongwook Lee, Boncheol Goo, Introducing Experimental Stereoscopic into Networked Live Performance with Very Limited System Resources, Asia Pacific Advanced Network (APAN)
  • 2020, 이종욱, 포스트 코로나 문화유산 미래 정책 모색을 위한 전문가 세미나, 문화재청
  • 2020, 이종욱, 비무장지대(DMZ) 평화관광 정책토론회, 비무장지대(DMZ) 평화관광 정책토론회(한국관광공사)
  • 2021, 이종욱, ‘뉴노멀 시대의 박물관 플랫폼 확장과 의의’에 관한 토론문, 제45회 한국박물관학 학술대회
  • 2021, 이종욱, ‘디지털기술 기반 문화유산 정책의 현재와 앞으로의 방향’에 관한 토론문, 제3회 문화재 행정 60년, 미래전략 토론회(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

수상내역

  • 한국공학예술학회 학술발표대회 우수논문상, 한국공학예술학회, 2012

기타경력

  • 2019, 카이스트 문화기술연구소 연수연구원
  • 2016-2018,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관리학과 시간강사
  • 2014-20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촉연구원
  • 2012, 카이스트 청소년문화기술체험센터 위촉연구원

연구비수혜

  • 2017-2019, 공간 데이터기반 문화콘텐츠 창·제작 인프라 생성 기술 개발, 문화체육관광부, 연구원
  • 2018, 스마트 관광도시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사전연구 용역, 한국관광공사, 연구원
  • 2016, 한옥의 유지, 보수, 관리를 위한 온톨로지 기반 관리대책 추천시스템에 관한 연구, 연구원
  • 2014-2016, 전통 건조물 문화재의 체험학습을 위한 디지털 문화재 저작 및 인터랙티브 복구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문화체육관광부, 위촉연구원
  • 2014, 글로벌 연구망 환경에서의 4K 비디오 전송 및 다채널 오디오 기술 연구, 카이스트, 연구원
  • 2013, 청소년 모바일 뉴미디어 창작체험 지원 소셜멘토링 시스템 연구, 연구원
  • 2013, 디지털문화유산영상관 전시운영 방안 연구용역, 문화재청, 연구원
  • 2012, STEAM 창의캠프 교재 개발, 두산동아, 위촉연구원
  • 2011, 세종시 디지털문화유산 박물관 제1차 디지털자원화 프로젝트, 문화재청, 연구원
  • 2010, 국립고궁박물관 어린이 왕실문화 체험공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전시콘텐츠 기획, 문화재청, 연구원
  • 2020, 디지털 문화유산 정책 미래비전 연구, 문화재청
  • 2020~2022, 실감형 문화유산 체험을 위한 에셋 기반 지능형 큐레이션 및 서비스 운영기술 개발, 문화체육관광부
  • 2021~2023, 역사문화환경 보존을 위한 H-BIM 지능형 목조 건축 모델링 기술 개발, 문화재청
  • 2021, 한국건축문화재의 보존, 관리를 위한 BIM 데이터 구축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연구지원센터
  • 2021, 문화유산 보존분야 디지털기술 적용에 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제문화재교육센터
  • 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문화유산 교육을 위한 가상박물관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연구지원센터
  • 2021, 한국유교문화진흥원 비대면 융복합 콘텐츠 기본구상 학술용역,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