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닫기
대학원소개
일반대학원
국가유산전문대학원
미래문화유산대학원
일반대학원
전통건축학과
전통미술공예학과
문화유산융합학과
국가유산전문대학원
유산기술학과
디지털헤리티지학과
국제문화유산협동과정
미래문화유산대학원
도시문화경영학과
전통문화활용교육학과
한국정원문화콘텐츠학과
문화유산진단감정학과
학사안내
대학원학사일정
교육과정
교내·외장학금
증명서발급
등록안내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료실
  • 공유
    • 트위터
    • 페이스북
    닫기

교수소개

김영재 교수

  • 직위(직명) : 교수 , 원장 , 학과장
  • 학사학위 :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 석사학위 : 한양대학교 건축학과, M.S.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artment of Architecture
  • 박사학위 : Ph.D.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artment of Architecture
  • 담당과목 : 세계유산보존관리론, 세계유산수리복원철학, 동서양건축역사이론비교, 서양건축기술사, 건축문화유산 보존철학론, 근대건축수리기술론, 근대건축 보존·활용 기법 연구, 역사도시보존과 활용, 근대도시비교, 전통도시비교, 역사도시 정비·재생, 도시형태론과 역사도시복원
  • 연구실 : 대학원 종합연구관 415호
  • 전화번호 : 041-830-4762
  • 메일보내기

저서

  • 2020 몽골건축(번역서), 하나 (ISBN 979-11-85083-29-2 93540)
  • 2020 온라인건축용어사전(저서)/대한건축학회 네이버 http://dict.aik.or.kr/
  • 2018 회암사의 건축 Ⅵ, “청규로부터 본 회암사지의 건축적 특성과 그 의미,” 연구총서,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34-74.
  • 2017 회암사의 건축 Ⅴ, “동아시아 선종사원에서 회암사의 의미와 가치” 양주: 회암사지박물관, 8-49.
  • 2016. 서울특별시, 서울 건축투어맵, ISBN: 9791156219071
  • 201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Architecture Guide to Seoul, Seoul Architecture Tour with Global Citizens, ISBN: 9791156219088
  • 2015, 기문당, 김영재 외 19명, 『和而不同의 동아시아 건축도시사 : 동아시아 건축과 도시에 대한 젊은 학자들의 관점』, ISBN: 9788962256987
  • 2014, 수원박물관, 『약진 水原』, ISBN: 9788994537627
  • 2013, 수원화성박물관, 공동:김영재,이달호,최정준,채미희,어준일,하수완,이경미, 『팔달문 가까이 늘 우리 곁에』, ISBN: 9788994537474
  • 2013, 수원시 화성사업소, 공동:김영재,이유나,임인수,하명찬, 『팔달문 오늘 다시 문을 열다』, ISBN: 9788996294429
  • 2012, 수원화성박물관, 공동:김영재,이영혁,왕려영,이민식,신응수,임재해,오선화,오가와미츠오, 『한·중·일 전통목조건축 大木匠의 세계』, ISBN: 9788994537429
  • 2011, 수원화성박물관, 공동:김영재,오동희,오선화,한동수,이달호, 『마음으로 그린 꿈 역사로 이어지고』, ISBN: 9788994537276
  • 2002, 『격자형 도시 변천도』, 아이싱크출판사

논문

  • 2021 보존철학의 전개에 따른 역사문화도시 정비 사례 연구, 보존철학의 전개에 따른 역사문화도시 정비 사례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7(1) 93-105.
  • 2020 건축문화유산의 비평적 복원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6.9, 41-50
  • 2020 "일제강점기 부소산 영역의 공간변화와 인식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6.6, 75-86.
  • 2020 “근대역사경관의 보존과 집단기억 : 오타루시 산업유산경관을 사례로”, 국토계획 제55권 제2호, 29-43
  • 2019 “Reconsidering a Proportional System of Timber-Frame Structures through Ancient Mathematics Books: A Case Study on the Muryangsujŏn Hall at Pusŏksa Buddhist Monastery”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18(5), 457-471.
  • 2019 “Design Principles of Early Stone Pagodas in Ancient Korean Architecture: Case Studies on the Stone Pagodas at Chŏngnimsa and Kamŭnsa Buddhist Temples.” Religions 2019, 10, 208.
  • 2019 "국내 근대 학교건축에서의 대학고딕 양식의 수용."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5, no. 11, 89-100.
  • 2018 “Application of and Changes in Construction Principles and Joint Methods in the Wooden Architecture of the Joseon Era: A Case Study on the Sungnyemun Gate in Seoul”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Volume 17 Issue 2 191∼198
  • 2018 "보존과 복원 개념의 변증법적 해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4, no. 12 135-144.
  • 2018 “동서양의 접점에서 파빌리온의 기원과 전개: 소아시아와 인도대륙 사이에서”, 동양예술 38호, 35-61
  • 2017, 「Tectonic Traditions in Ancient Chinese Architecture, and Their Development」,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vol.16, No.1.
  • 2016 , 「역사도시의 가치평가를 통한 재생방안 연구」, 세계유산, 수리복원, 재생, 그리고 부여, 부여학 6호.
  • 2016, 「생태환경 변화에 대비한 세계유산의 역할에 대한 연구」, 세계유산, 수리복원, 재생, 그리고 부여, 부여학 6호.
  • 2016, 「Discussing Architecture and the City as a Metaphor for the Human Body: From Marcus Vitruvius Pollio, Leon Battista Alberti, Andrea Palladio to Other Renaissance Architects」, Architectural Research, Vol.18, No.1.
  • 2016, 「서양의 일본건축문화에 대한 인식과 해석」,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통권 제 53호.
  • 2015, 「서양의 동아시아 건축도시 역사이론에 대한 연구동향과 특징」, 화이부동의 동아시아 건축도시사.
  • 2015, 「역사도시경관으로서 부여 관북리 백제유적과 (구)부여박물관의 가치」, 백제, 김수근, (구)부여박물관, 부여학 5호.
  • 2015, 「김수근 부여박물관의 전통논쟁과정 소고」, 백제, 김수근, (구)부여박물관, 부여학 5호.
  • 2015, 김주범,(교신)김영재,한영우,장은정,김종범,이은혜, 「전통건조물 보존을 위한 수장고 도입과 그 활용방안 연구」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통권 제 49호.
  • 2015, 「Camillo Sitte’s Urban Design Language and its Influence upon Adolf Loos’s Raumplan」, Architectural Research, Vol.17, No.1.
  • 2015, 「Reconsidering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tupa」,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17, No.1.
  • 2014, 「Revisiting the Vāstupuruṣamaṇḍala in Hindu Temples, and Its Meanings」, Architectural Research, Vol.16, No.2.
  • 2014, 「중국 고대 도성계획에서 중축선의 형성과 그 의미」,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2.
  • 2014, 「중국 고대도성계획에서 宗廟․社稷의 배치와 그 의미」,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2.
  • 2013, 김영재, 김득수, 「호서은행본점의 입지배경과 그 도시적 의미」,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5.
  • 2013, 「나카무라 요시헤이의 서양건축양식의 수용과정과 그 의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19, No.5.
  • 2011, 「Evolution, Transformation, and Representation in Buddhist Architecture」, Architectural Research, Vol.13, No.4.
  • 2010, 김영재, 한동수, 「조선은행 해외지점의 설립배경과 건축적 의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26, No.9.
  • 2007, 김영재, 김득수, 한동수, 「일제강점기 근대도시의 도시공간구조와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8, No.3.
  • 2002, 「도시 주거지 근린관계분석을 위한 방법론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18, No.11.
  • 2001, 김영재, 한동수, 동정근, 최정환, 「해방 이후, 서울과 평양의 도심공간구조와 그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17, No.10.
  • 2000, 「사회주의 국가의 농촌취락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16, No.9.

학술/전시

  • 2020 서평: 나무로 집 지은 이야기만은 아니랍니다 를 읽고 재해석하며, 건축역사연구, Vol.29 No.5
  • 2020 고대건축의 해석과 재현 토론, 한국건축역사학회, 국립문화재연구소
  • 2020 고전수학과 석조건축과 목조건축의 설계원리, 월간한옥 26호
  • 2020 고전수학과 영건체계, 월간한옥 26호
  • 2020 동아시아의 텍토닉<Tectonic>, 월간한옥 25호
  • 2020 강원도, 충정도 지역 언어의 건축 관련 어휘에 대한 고찰,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 2020 Historic Urban Landscape Approach에 기반 한 전후복원 문화유산의 재맥락화 및 가치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 2020 오픈 빌딩 이론을 통한 근대건축자산의 보존활용 방법론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 2020 역사도심에서 일어나는 개발행위에 대한 문제점과 방향성,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 2019 건축 및 도시 유산의 보전 및 관리 제안, 아시아 태평양 문화유산연구,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전, 142-143.
  • 2019 아시아·태평양 전통재료 및 기술공법 DB구축, 아시아 태평양 문화유산연구,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전, 98-140.
  • 2019 The Construction of Database for Asia-Pacific Traditional Materials and Technique -DB Construction for Asia-Pacific Traditional Materials and Technique, International Journal of Asian-Pacific Heritage Studies, Sustainable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90-119
  • 2019 Suggesting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Architectural and Urban Heritage, International Journal of Asian-Pacific Heritage Studies, Sustainable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120-129
  • 2019 "장성 황룡마을 회덕헌답사기." 한옥문화 2019년 여름 통권 54호: 78-79.
  • 2019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현대한옥의 새로운 모델,” 한옥문화 2019년 여름 통권 54호: 32-65
  • 2019 "유산해석(Heritage Interpretation)의 개념과 활용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301-304.
  • 2019 “문화재 해석 방법으로서 알레고리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대회.
  • 2019 "유산영향평가의 등장배경과 전개에 관한 고찰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171-174.
  • 2019 “수원팔경의 역사도시경관변화에 관한 연구 - 수원천을 중심으로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대회.
  • 2019 “제주 원도심의 지속가능한 보전을 위한 제언”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대회.
  • 2019 "천안문 광장의 교훈: 기념물, 중축선, 혁명, 그리고 일상의 공간." 건축 63, no. 4 42-45.
  • 2018 “지속 가능한 근대유산의 보존과 복원, 그리고 활용전략”, 건축 Vol.62 No.03 63-68.
  • 2018 “건축문화유산의 지속 가능한 보존을 위한 제언”, 건축 Vol.62 No.03, 10-11.
  • 2018 “증강현실의 현황과 건축문화유산에서의 활용 방안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 2018 “마을 유산의 가치 인식과 보존 방법론에 대한 비평적 고찰”,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 2018 “통의동 35번지 필지분할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 2018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의 세계유산 등재 이후 현황과 문제의식”,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125-128.
  • 2018 “용인 천주교 유적의 보존과 활용 : 은이성지, 고초골 공소를 중심으로”, 용인 천주교유적 학술토론회, 89-124.
  • 2017,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tress System in the Joseon Era」, Proceedings of the 2017 icEAAC, Jeju, Korea.
  • 2017, 「The Conceptual Development of the Pure Land Architecture」, Proceedings of the 2017 icEAAC (The 2017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st Asian Architecture and City), Jeju, Korea.
  • 2017, 「문화유산의 진정성」, 용어와 건축, 건축, Vol.61, No.3.
  • 2017, 「비평쓰기: 역사와 이론 사이」, 건축, Vol.61, No.2.
  • 2016, 「용산, 땅이 입을 열다」,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
  • 2016, 「한옥정책의 현재와 미래」, 건축, Vol.60, No.8.
  • 2016, 「Ankor Conservation in Siem Reap, Cambodia」(번역), 건축역사연구, Vol.25, No.1.
  • 2016, 「세계유산, 수리복원, 재생, 그리고 부여- 부여 밖에서 본 세계문화유산」, 부여학 6호.
  • 2016, 「수원화성 중심부 공간구조 변화와 의미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 2016, 「익선동 한옥주거지 형성배경과 필지분할과정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 2013, 「서사시 속의 공간·건축, 공간·건축 속의 서사시」, 광주 아시아문화마루 전시실.
  • 2013, 「라마야나의 길」, 다큐멘터리 상영, 광주 아시아문화마루 전시실.
  • 2007, 「일상의 재생과 보존: 필라델피아의 소사이어티 힐(Society Hill)의 사례를 통해서」, 건축, Vol.51, No.5.
  • 2007, 「The Meaning of Four Cardinal Directions and Center in the Buddhist Monastery」, the 36th ANNUAL MAR/AAS CONFERENCE,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MD, USA.
  • 2004,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Neighborhood-relationship after Squatter Settlement’s Redevelopment in Urban Area」, the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rchitectural Interchanges in Asia, Japan.
  • 2003, 「세계의 격자형 도시변천」, 월간 건축인 포아 POAR, 2003-01~2003-08.
  • 2002,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Origin and the Mentality of Gridiron City in the East and the West」, 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rchitectural Interchange in Asia, Chongqing, China.

연구비수혜

  • 2020 정림사지 박물관 백제불교 콘텐츠 구축 건축디오라마 복원계획, 부여 정림사지 박물관,
  • 2020 조선시대 오례의 유·무형 가상콘텐츠 및 서비스 플랫폼 개발, 화성행궁 봉수당 건축고증 및 모형, 문화재청
  • 2020 부여군 생활문화자료조사 쌍북리, 책임연구원, 백제고도문화재단
  • 2020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특화도시 조성방안 연구, LH토지주택박물관
  • 2020 건축문화재 기후변화와 신종재난, 책임연구원, 국립문화재연구소
  • 2020 성균관과 문묘 및 유사유산 기초현황조사, 서울특별시
  • 2020 안성 구포동성당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신청 보고서, 안성시
  • 2019 대곡천 암각화군 역사관광자원화 사업, 울산광역시
  • 2018 우당 6형제 생가복원 및 기념관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 및 예비타당성 조사
  • 2016, 한옥가치 발굴을 위한 전통건축 디지털 컨텐츠 구축- 고(故) 장기인 선생 소장자료.
  • 2016, 창덕궁 주합루 정밀실측 조사보고서.
  • 2015-16, 문화유산 진정성 측면에서 본 역사도시의 형태와 한옥의 정의: ‘건축구법/재료’와 ‘공간형태’의 통-공시적 해석을 바탕으로.
  • 2015-16, 문화유산 진정성 측면에서 본 역사도시의 형태와 한옥의 정의: ‘건축구법/재료’와 ‘공간형태’의 통-공시적 해석을 바탕으로.
  • 2015, 세종대로 역사문화공간 설계공모 관리용역.
  • 2015, SEJONG DAERO HISTORIC CULTURAL SPACE DESIGN COMPETITION OPERATION GUIDELINE 세종대로 역사문화공간 설계공모 운영지침 (한글, 영어).
  • 2013, 아시아 대서사시 관련 공간-건축 문화의 가치발굴과 자원수집 사업.

김영모 교수

  • 직위(직명) : 교수
  • 학사학위 : 1989 서울시립대 조경학과/학사
  • 석사학위 : 1991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대학원/조경학석사
  • 박사학위 : 1998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대학원/공학박사
  • 담당과목 : 전통조경 계획 및 설계,전통정원원림의계획및복원설계,전통정원 및 원림 조영론,전통원림의 수리복원,관방유적의 안전진단 및 구조복원설계,근대조경(근대정원및근대공원)연구,전통조경의계획및설계Ⅱ,3차원 디지털 정원및원림설계,명승의 발굴과 보존 및 활용론,근대조경 계획 및 복원설계,전통 조경의 시공 및 적산
  • 연구실 : 대학원연구동(온지관) 414-2호
  • 전화번호 : 041-830-4700
  • 메일보내기

저서

  • 2008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2009 동양조경문화사
  • 2012 알기쉬운 전통조경시설사전
  • 2013 한국의 전통적 미의식을 찾아서
  • 2016 Progress in Cultural Heritage : Documentation, Preservation, and Protection

논문

  • 2016, 김영모,오준영, 「종묘 지당(池塘)의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문화재,국립문화재연구소
  • 2016, 김영모,오준영,「조선시대 판장(板墻)에 관한 연구」,문화재,국립문화재연구소
  • 2015, 김영모,「역사적 랜드마크를 고려한 고도 부여의 경관관리방안 연구」,한국경관학회지, 한국경관학회
  • 2015, 김영모,오준영,「근대기 전라북도 지방관아의 쇠퇴에 관한 연구」,문화재,국립문화재연구소
  • 2013, 김영모,「서원경관의 보존관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한국경관학회지,한국경관학회
  • 2013, 김영모,「한국의 전통조경 미의식에 관하여」,동양고전연구,동양고전학회
  • 2011, 김영모,이재용,김충식,「누적가시도 분석을 이용한 신라시대의 산성 입지와 감시체계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한국전통조경학회
  • 2011, 진양교,김영모,김해경,김연금,「백제정원을 주제로 한 리조트 외부 공간 계획」,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0, 이동주,김영모,「경주읍성 남문의 형태 및 규모추정에 관한 연구」,전통문화논총, 한국전통문화학교
  • 2010, 김홍곤,김영모,「경주읍성 성곽시설의 원형고증에 관한 연구」,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 2010, 김홍곤,김영모,「서울 도화동 원림유적에 대한 고찰」,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7, 김영모,「전통정원의 보존 및 복원원칙 설정을 위한 시론적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6, 김영모 외 2명,「고도보존지구 분류를 위한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6, 김영모 외 1명,「부소산성 발굴유적과 유구의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5, 김영모,「화성행궁 조경시설물의 고증 및 복원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5, 김영모,「조선시대 서원의 조경」,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4, 김영모 외 3명, 「화성행궁의 식생경관 복원을 위한 고증과 복원방향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4, 김영모 외 1명,「조선시대 능역 공간의 식재 및 관리 사실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4, 김영모 외 1명,「고증을 토대로 한 서오릉 능역시설의 정비방안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3, 김영모,「시짓기와 원림 조영방법에 관한 연구 - 소쇄원사십팔영을 통해본 소쇄원의 조영방법을 중심으로」,한국전통조경학회지,2003.06.
  • 2002, 김영모 외 1명,「신산사상에 영향 받은 전통 조경문화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고대시대의 조경문화를 중심으로」,한국전통조경학회지,2002.09.
  • 2001, 김영모 외 1명,「전통마을의 승경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1, 김영모 외 1명,「조선시대 종묘와 사직의 구성관념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00, 김영모,「중국의 궁실제도와 조선시대 궁궐의 영역분할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1998, 김영모 외 2명,「조선시대 궁궐 건물명의 명명 특성」,동신대학교 논문집, 동신대학교
  • 1998, 김영모,「조선시대 사묘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학연구, 서울시립대학교
  • 1998, 김영모 외 1명,「조선시대 궁궐공간의 관념적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1994, 김영모,「서울시 주민의 근린 여가시설 선택모형을 기초로 한 시설지 배분에 관한 연구」, 서울학연구, 서울시립대학교
  • 1994, 김영모 외 3명,「대도시 주민의 옥외 여가활동 선택모형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1993. 김영모 외 5명,「서울시 주민의 선호 옥외여가시설 추출 및 이용빈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 1993. 김영모 외 5명,「퇴계집을 통하여 본 도산서당의 조영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전통조경학회

수상내역

  • 한국도시설계학회 전라감영 현상설계공모 우수상(2012.07.)
  • 한국전통조경학회 우수논문상(2005.01.)
  • 한국전통조경학회 우수논문상(2004.01.)
  • 한국정원학회 우수논문상(2003.01.)
  • The Werner Weber Award(EuroMed 2016)

기타경력

  • 1993~1996 서울학연구소 선임연구원
  • 2009~2011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학과장
  • 2013~2015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학처장
  • 2014~2014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장직무대리
  • 2015~2017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장
  • 2018~2022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장

연구비수혜

  • 전통문화 전문인력 양성 특성화 방안 연구

김충식 교수

  • 학사학위 :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이학사 (1995)
  • 석사학위 :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조경학석사 (1998)
  • 박사학위 : 서울시립대학교 공학박사(조경) (2004)
  • 담당과목 : 조경계획, 한국정원설계, 전통조경캡스톤디자인, 역사경관의 분석과 해석

저서

  • 2015, 공동, 『디지털유산-문화유산의 3차원 기록과 활용』, 시그마프레스
  • 2011, 단독, 『PIRANESI 2010 활용백서』, 도서출판과학기술
  • 2009, 공동, 『스케치업 드로잉 바이블』, 도서출판과학기술
  • 2006, 단독, 『겸재, 스케치업 5.0을 만나다』, 이엔지북
  • 2006, 단독,『피라네시 4.0』, 도서출판과학기술

논문

  • 2022, 3인,「문화재수리의 조경분야 공공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22, 2인,「동궐도 판장의 공간통제 효과에 관한 연구」, 문화재
  • 2021, 3인,「문화재의 전통조경설계용역 발주실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1, 2인,「한칸형 전통 사각정자의 지붕부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1, 2인,「근현대기 창덕궁 후원의 동선 변화에 관한 연구」, 문화재
  • 2021, 2인,「창덕궁 선정전 와룡매의 환수 문화재로서의 문화콘텐츠적 가치」, 문화재
  • 2020, 2인,「광주시 서구 만귀정 원림의 경영과 역사경관 변천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20, 2인,「아산시 주거지역의 문화재에 대한 범죄예방환경설계에서 주민의 활동성 강화 사례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 2020, 2인,「숲가꾸기 사업과 흰개미 피해를 받은 문화재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문화재
  • 2020, 3인,「이용성을 고려한 3차원 시각노출도 지표의 개발」, 한국경관학회지
  • 2019, 3인,「조경분야 BIM 도입을 위한 세부 공종 도출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 및 경관계획 연구소 휴양및경관연구지
  • 2018, 2인,「경회루 권역의 식재경관 원형고증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 2018, 2인,「SNS 사진과 사진측량을 이용한 정원유산의 3차원 형상 재현 가능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18, 2인,「창덕궁 전각권역의 해설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18, 단독,「보존 및 활용을 고려한 명승의 분류 체계 연구」, 한국경관학회지
  • 2018, 2인,「조계산 선암사(명승 제65호) 표면배수 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 2017, 단독,「3D 시각노출도를 이용한 문화재 범죄예방환경의 평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017, 2인,「시지각강도를 고려한 명승 구역설정에 관한 연구」, 문화재
  • 2017, 2인,「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의 3차원 기록화를 통한 포토그래메트리의 유용성 연구」, 문화재
  • 2016, 단독,「경관심의의 정립을 위한 경관조례 개선방안 연구, 한국경관학회지」, 한국경관학회지
  • 2015, 2인,「3차원 시각노출도를 이용한 문화재의 조망통제효과 연구」, 한국경관학회지
  • 2015, 3인,「역사적 랜드마크를 고려한 고도(古都)부여의 경관관리 방안」, 한국경관학회지
  • 2015, 단독,「목조 건축문화재의 범죄예방설계 평가지표에 대한 기초연구」, 문화재지

학술/전시

  • 2020, 단독, 잊혀진 사람들을 위한 뉴딜,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2인, 궁궐을 기반으로 한 한국 전통 정원 문화의 대중화 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2인, 국가정원 모델 개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2인, 포토그래케트리 기술을 이용한 궁궐 조경시설물의 3D 모델 제작 가능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2인, 초연결성 기반 전통조경의 비대면 강의 모델 개발 연구-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2인, 단칸형 전통정자의 형태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 2020, 3인, 창덕궁 내 점경물의 소재 변화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숲 가꾸기 사업과 문화재를 가해하는 흰 개미 피해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문화유산 환경의 디지털 3차원 기록화 방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광주시 서구 만귀정(晩歸亭) 원리의 역사경관 변천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빅데이터를 이용한 소쇄원의 인식분석과 활용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조경전문잡지에 나타난 퍼걸러의 디자인 경향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일본 동경도(東京都) 정원명승 관리계획 사례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경복궁 후원 정비계획,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2인, (구)목포공장 근대문화유산 공원조성계획,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3인, 도봉서원 일원 각석군의 장소정체성과 문화경관,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3인, 우복 정경세의 우곡잡영 20수에 묘사된 경관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9, 3인, 택당 이식의 택풍당 경영과 동계팔경,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8, 3인, 전통조경공간 내 수목에 의한 물리적 피해 발생 요인과 관리방향 제언, 한국환경조경학회연합
  • 2018, 2인, 활동성 강화를 통한 범죄예방환경설계 적용방안 연구, 한국환경조경학회연합
  • 2017, 2인, 현대 한옥 조경 진흥을 위한 한옥 관련 법률 및 제도 개선 방안연구, 한국환경조경학회연합
  • 2017, 2인, 디지털포토그래메트리를 이용한 전통조경시설물의 3D정보 기록화 연구 -담양 소쇄원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조경학회연합
  • 2017, 3인, 쾌적(comfort)공간 조성을 위한 BIM기반, 한국환경조경학회연합
  • 2016, 2인, 누적가시도를 이용한 명승 구역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2016, 2인, 경관조례의 실효성 향상 방안 모색, 한국경관학회
  • 2015, 2인, 명승의 보존.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유형 세분화 연구, 한국경관학회

수상내역

  • 2016.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세종우수도서학술도서 선정, 『디지털유산-문화유산의 3차원 기록과 활용』, 시그마프레스

기타경력

  • 2020-(현재) (사)한국전통조경학회 기술부회장
  • 2020-(현재) 국토교통부 대전지방국토관리청 자문위원
  • 2019-(현재) 충청남도 문화재 전문위원
  • 2019-2020 (사)한국조경학회 산학협력집행이사 및 편집위원, 논문심사위원
  • 2019 (사)한국경관학회 편집위원 및 심사위원
  • 2018-2019 (사)한국전통조경학회 편집위원 및 논문심사위원
  • 2017-2019 세종특별자치시 건설기술심의위원회 위원
  • 2017-2019 문화재위원회(천연기념물분과)전문위원
  • 2017-2019 충청남도 문화재 전문위원
  • 2017-2019 아산시 공공디자인 진흥위원회 위원
  • 2016-2018 오산시 경관위원회 위원
  • 2015-2016 조달청 기술용역 기술제안서 및 기술자 평가서 평가위원
  • 2014-2018 동계올림픽 자문위원회 위원
  • 2014-2016 인천광역시 경관위원회 위원
  • 2014-2016 국토교통부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기술자문위원(경관분야)
  • 2014-2016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녹색건축인증심의위원회 심의위원
  • 2014-2016 문화재청 고도 미래 정책위원회 위원
  • 2014-2016 한국전통조경학회 편집위원
  • 2014-2015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 설계자문위원
  • 2013-2017 한국경관학회 상임이사
  • 2013-2015 원주지방환경청 환경성평가 자문위원
  • 2012-2018 강릉시 경관위원회 위원
  • 2010-2013 한국도시설계학회 편집위원
  • 2009-2013 강원도의회 관광건설부문 자문
  • 2008-2015 원주지방환경청 자연경관심의위원
  • 2007-2013 한국도로공사 경관설계 자문위원
  • 2006-2013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부교수
  • 2006-2012 행정중심복합도시 경관설계 자문위원
  • 2004-2005 서울학연구소 특별연구원
  • 2004 서울시립대학교 공학박사(조경)
  • 2002-2006 LET 경관계획연구소장
  • 1999 조경기술사사무소 ARTEC 과장
  • 1995-1999 ㈜쌍용엔지니어링 조경기술부 사원

연구비수혜

  • 2019, 궁능 전통조경 용어 조사 및 해설 연구, 문화재청, 책임
  • 2019, 조선왕릉길 조성 인프라 구축 연구용역, 문화재청, 책임
  • 2017, 명승 유형별 보존관리방안 연구, 문화재청, 책임
  • 2016, 유휴공간 활용 마을쉼터 조성사업, 산청군, 책임
  • 2015, 부여 송국리유적 종합정비계획, 부여군, 공동
  • 2015, 경관심의제도 개선방안 및 경관심의위원회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연구, 책임
  • 2013, 명활산성 종합정비 기본계획 수립 용역, 경주시, 공동
  • 2012, 청주시 야간경관 기본계획, 청주시, 연구원
  • 2011, 충청 수영성 재정비계획, 보령시, 연구원
  • 2011, 저탄소 녹색성장형 공원전략 연구, 국토해양부, 연구원
  • 2010, 한강 역사․문화적 시원지 복원사업 기본계획, 평창군, 책임
  • 2010, 동해시 도시림 등 조성․관리계획, 동해시, 책임

이상현 교수

  • 학사학위 :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 석사학위 : 동경예술대학교대학원 문화재보존학과
  • 박사학위 : 동경예술대학교대학원 문화재보존학과
  • 담당과목 : 지류유산보존학, 회화제작기법연구, 지류보존기술, 회화보존기술 등
  • 연구실 : 대학원 종합연구관 416호
  • 전화번호 : 041-830-7304
  • 메일보내기

저서

  • [전통회화의 색] 2010
  • [일본화 용어사전] 2006
  • [지류직물 문화재보존] 2011
  • [문화재 보존과 기법] 2014

논문

  • 2016, 「진신화상첩의 채색기법 연구 - 복식에 표현된 배채와 조채를 중심으로 -」, 문화사학, 한국문화사학회
  • 2016, 「부벽화(付壁畵)문화재 복원모사」, 한국고도육성포럼, 한국고도육성포럼
  • 2015, 「조선 후기 직조회화 재현연구 - 후쿠오카 시립박물관 소장 '지직화병풍'을 중심으로 -」, 한국전통문화연구 제16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 2014, 유지아, 김지은, 한예빈, 이상현, 정용재 「전통 편금사 복원 및 재현을 위한 재료 특성 비교 연구」, 보존과학회지 Vol.30 No.3,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08, 「명-청시대의 白竹紙 재현 연구 : 지류문화재 補修紙와 紙織畵 재현을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Vol.23 통권 제23호,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08, , 「유기안료의 연구 -조선민화『지직화』의 재현을 중심으로-」, 도쿄예술대학교

학술/전시

  • 대한민국 / 2015. 10. 31 / (사)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제42회 추계국제학술대회 / <진상화상첩> 구배접지의 처리 및 활용 연구 / (사)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대한민국 / 2015. 10. 31 / (사)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제42회 추계국제학술대회 / 복원모사를 통한 <진상화상첩>의 표현기법연구 - 홍단령을 입은 관료의 배채기법을 중심으로 - / (사)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대한민국 / 2015. 05. 08 / 제1호 규장각 고전적 보존 관리, 수리복원연구회 공동학술대회 / 지류문화재의 고색과 색맞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대한민국 / 2016.02 / 4인동행-희망초대전 / 갤러리루벤 / 한국아우라트회
  • 대한민국 / 2016.01 / 2016 서울국제아트쇼 / GALLERY LALER / 서울국제아트쇼 운영위원
  • 중국 / 2015.12 / 2015 중,한 문화예술교류 명가서화작품전 / 한국민족미술교류협회
  • 대한민국 / 2015.11 / 제 10회 2015 서울국제미술협회 한,일 교류전 / 서울 고도갤러리 / 2015 한일교류전 운영위원회 / 서울국제미술협회
  • 중국 / 2015.11 / 광복70주년 한중예술교류전 / 중국 산동성 위해문 석보탄 아트홀 / 한국예술작가협회운영위원회
  • 대한민국 / 2015. 07 / 2015 21th CONTEMPORARY ART KOREA AND JAPAN -Self Fiction- Seoul & J메무 / 한전아트센터갤러리 / CAAN운영위원회(현대미술한일전운영위원회)

수상내역

  • 安宅償 [2004], 平山償 [2006]

연구비수혜

  • 승정원일기 (국보 303호) 보존처리
  • 천은사, 선석사, 부석사, 은해사, 예천용문사, 남해용문사 괘불탱 (보물 제1608호, 제1270호, 제1340호, 제1562호, 제1445호, 제1446호) 보존처리
  • 명재 윤증초상(보물 제1495호)보존처리
  • 이성윤초상, 위성공신교지(보물 제1490호, 제1508호) 보존처리
  • 윤효전초상(보물 제1502호) 보존처리
  • 성수침필적(보물 제1623호) 보존처리
  • 해인사 영산회상도(보물 제1273호) 보존처리
  • 갑인춘 친정도(부산시 유형문화재 제103호) 보존처리
  • 2016, 한성백제박물관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보존처리 용역
  • 2016~7, 고문헌 수리복원사업
  • 2016, 간송 소장품 보존처리 용역-6부
  • 2015, 국립한글박물관 전시자료 복제(용비어천가 등)
  • 2015, 부용안도병풍 분석조사 및 정밀상태진단
  • 2015~6, 고문헌 수리복원사업
  • 2015, 간송미술관 소장품 보존처리 용역
  • 2015, 인평대군방전도 모사도 장황
  • 2014~5, 조선팔도지도 수리복원사업
  • 2014~5, 간송미술관 소장품 보존처리 용역
  • 2014~5, 고문헌 수리복원사업
  • 2013~4, 간송미술관 소장품 보존처리
  • 2013, 지류유물 보존처리
  • 2013~4, 고문헌 수리복원사업
  • 2013~4, 창덕궁 대조전 부벽화 보존처리 및 모사도 제작 용역

장헌덕 교수

  • 직위(직명) : 명예교수
  • 학사학위 : 홍익대학교 건축학과(84)
  • 석사학위 : 홍익대학교 건축학과(94)
  • 박사학위 : 북경청화대 건축과(00)
  • 담당과목 : 한·중·일 건축연구, 목조건축복원설계, 석조건축복원설계, 건축수리사례연구, 동양건축비교론, 전통건축영건체계분석설계, 목조건축기술사연구, 전통건축법식연구 등
  • 연구실 : 대학원 종합연구관 413-2호
  • 전화번호 : 041-830-7276
  • 메일보내기

저서

  • 2014, 기문당, 대한건축학회 책임 장헌덕, 「한국건축통사」, ISBN: 9788962256093
  • 2013, 경주시, 책임 장헌덕, 「경주 신라 왕릉」, ISBN: 9788993719512
  • 2013, 경주시, 책임 장헌덕, 「신라 왕릉」, ISBN:9788993719482
  • 2013, 전통문화연구소, 책임 장헌덕, 「한국의 전통적 미의식을 찾아서」, ISBN:9788929901851
  • 2006, 한국문화재보호재단, 「목조건축의 구성」, ISBN:9788985764452
  • 2005, 빛과 글, 「중국과 한국의 불교건축」, ISBN:9788990170071

논문

  • 2015, 장헌덕, 홍은기 「전통 목조건축 서까래의 이형적 배치 방식 연구」, 건축역사연구
  • 2015, 「백제 문화단지 능사 5층 목탑 건립」, 부여학, (사)한국고도육성포럼
  • 2015, 장헌덕, 김기현 「조선시대 성곽 장대의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문화재 Vol. 48 no. 2, 국립문화재연구소
  • 2015, 장헌덕, 주용준 「지리산 단속사 가람 배치 연구- 2탑·금당·강당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통권 제50호,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 2015, 장헌덕, 양기철 「고건축물 모형 제작 및 활용」,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백제계석탑 상륜부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 – 중국 고대 석굴을 중심으로」, 부여학, 한국고도육성포럼
  • 공동(교신):장헌덕/공동(참여):홍은기대,김상태 「조선시대 혼전(魂殿)공간의 구성에 관한 연구」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 2011, 「중국 唐·宋 목조건축의 하앙 결구기법 변천 연구」,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2011, 「卍자 문양의 의장적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남해신사 기본계획에 따른 신당건축 고찰」, 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7, 「중국 남방지역 루교의 공간구성과 조형성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2005, 장헌덕, 최종호, 「사찰박물관 계획과 전시기획에 관한 연구」, 박물관학보, 한국박물관학회
  • 「서산 보원사지 가람배치에 관한 고찰」, 전통문화논총, 한국전통문화학교
  • 2005, 「사찰박물관 건립에 따른 입지분석과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박물관학보, 한국박물관학회
  • 2004, 「景福宮의 復元과 保存」, 건축역사연구 Vol. 13 no. 1, 한국건축역사학회
  • 2002, 「彌勒寺址 西塔의 建築史的 意義」, 건축역사연구 Vol. 11 no. 3, 한국건축역사학회
  • 「문화재의 보존과 복원」,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미륵사지석탑의 조형적 고찰」,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1999, 「朝鮮時代 兩班住宅의 空間的 特性과 그 造形性」, 아시아민족조형학회 국제학술회의, 아시아민족조형학회

학술/전시

  • 대한민국 / 2015. 11. 13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 세계유산 진정성 요소의 지역별 적용에 관한 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
  • 대한민국 / 2015. 11. 13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 전통목조건축 서까래의 이형적 배치에 관한 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
  • 대한민국 / 2015. 08. 27 / 2015 CHCD Symposium / 한국세계문화유산적 보존과 관리 / OHCD
  • 대한민국 / 2015. 05. 16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 고대건축물 모형 제작 및 활용 / 한국건축역사학회
  • 대한민국 / 2014. 11. 15 / 한국학연구원 기획학술대회 / 고대 사찰 건축의 전개과정 / 계명대학교
  • 중국 / 2014. 09. 04 / 문화유산보호와디지털국제논담 / 한국 월정교 복원연구 / 중국청화대학
  • 대한민국 / 2014. 05. 16~17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 대회 / 조선시대 중층문루의 우진각 지붕 가구기법 연구
  • 대한민국 / 2014. 05. 16~17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 대회 / 창방의 ‘주먹장내리맞춤’ 결구기법 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
  • 대한민국 / 2013. 03. 26 / 숙모전(초혼각)의 국가지정필요성과 과제 / 숙모전(초혼각) 일원의 건축적 특징과 국가지정의 과제
  • 대한민국 / 2013. 02. 26 / 숙모전(초혼각)의 국가지정필요성과 과제 / 숙모전(초혼각) 일원의 건축적 특징과 국가지정의 과제

연구비수혜

  • 2016, 동궁과 월지 서편지 건물복원 기와하중 연구용역
  • 2014, 경주 동궁과 월지 복원 세부계획 및 기본설계
  • 2013~14, 경주 동궁과 월지 복원 세부계획 및 기본설계
  • 2012~13, 경주 동궁과 월지 복원 세부계획 및 기본설계
  • 2012~13, 경주 신라왕릉 학술조사연구(4차)
  • 2012~15, 월정교 문루건립·주변정비계획 수립 및 설계
  • 2012~13, 황룡사 구층목탑 실시설계 및 모형제작
  • 2011~12, 황룡사 복원 연구센터 건립 실행계획 및 실시설계
  • 2011~12, 경주 신라왕릉 학술조사연구
  • 2010~11, 경주 신라왕릉 학술조사연구
  • 2010~12, 고분전시관 건립 세부계획 및 기본설계
  • 2010, 황룡사 구층목탑 실시설계 및 모형제작
  • 2010~12, 임해전지 종합(복원) 정비계획 수립
  • 2009~10, 경주 신라왕릉 학술조사연구 대행사업
  • 2009~10, 백제역사재현단지 건립기 발간

정용재 교수

  • 직위(직명) : 교수
  • 학사학위 : 중앙대학교 생물학과 (이학사)
  • 석사학위 : 중앙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미생물학/이학석사)
  • 박사학위 : 중앙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미생물학/이학박사)
  • 담당과목 : 문화유산생물제어학, 문화유산생물방재기술, 전통기술소재학, 고분자재료학, 유기재료분석화학, 고환경보존기술, 문화유산생물분자학, 문화유산생화학특론 등
  • 연구실 : 대학원 종합연구관 314-2호
  • 전화번호 : 041-830-7365
  • 메일보내기

저서

  • 2013, 주류성출판사, 『문화재 생물학』, ISBN:9788962461107
  • 2010,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동산문화재 관리 가이드북』, ISBN:9788963253503

논문

  • 2017, 유지아, 김지은, 정용재 「Py-GC/MS 분석법을 이용한 첨가물 혼합 옻칠 접착제의 정성분석」, 보존과학회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6, 이민영, 정선혜, 김대운, 정용재 「공주 송산리 6호분 벽화고분 보존을 위한 온열환경 분석 연구」, 보존과학회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6, 유지아, 박상현, 한예빈, 정용재 「안개 발생에 따른 문화재 표면의 색 변화 예측 연구」, 보존과학회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6, 한규성, 홍종욱, 이화수, 박진호, 손동원, 정용재 「단기간 풍화가 단청도채된 소나무재의 방염성능에 미치는 영향」, 목재공학, 한국목재공학회
  • 2016, 정용재, 임세연 「적색 염직물의 색소 추출 방법 및 분석연구」, 보존과학회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6, 정용재, 이현주, 이민영, 한예빈, 김시현, 정선혜 「대규모 치수(治水) 사업이 주변 문화재 환경에 미치는 영향」, 보존과학회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6, Gyu-Seong Han,Dong Won Son,Hyun Jeong Seo,Hwa Soo Lee,Jin Qyu Kim,Yong Jae Chung 「The Cause of Whitening by Flame Retardants Treatment on Korean Wooden Cultural Heritage」, 목재공학, 한국목재공학회
  • 2016, Bong Su Kim,Byung Ho Lee,Hyun Ju Lee,Dae Woon Kim,Si Hyun Kim,Yong Jae Chung 「Evaluation on Biological Sensitivity of Three Fumigants Used for Conservation of Wooden Cultural Property」, 목재공학, 한국목재공학회
  • 2016, 이한형, 박가영, 송유나, 정용재 「굴 패각 분말의 입자분포에 따른 도막특성」, 보존과학회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6, 한규성, 김도래, 정용재, 이하림, 이화수, 김진규, 이한형 「시판용 방염제 도포에 의한 단청안료의 물리화학적 변화 연구」, 보존과학회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6, 이화수, 김환주, 정용재 「캔버스 차단층(Size Layer)의 재료특성 및 기능평가 연구」, 보존과학회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6, 한규성, 이화수, 이한형, 김환주, 정용재 「목조문화재 단청에 방염제가 미치는 영향평가」, 문화재지, 국립문화재연구소
  • 2016, 이나라, 정용재 「PVC에서 방출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금속 재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전통문화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2016, 이화수, 문혜영, 정용재 「화재상황에서의 고온으로 인한 사찰벽화의 물성변화 연구 -벽체를 중심으로-」, 전통문화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2016, 이혜윤, 이한형, 송유나, 정용재 「비파괴 성분 분석을 통한 18세기 초상화의 채색 특성 비교 고찰 -유언호 초상화를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6, 한예빈, 유지아, 김지은, 정용재 「전통 편금사에 사용된 붉은 접착제 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5, 정용재, 김시현, 김윤주, 유재승 「일본흰개미 아종 모니터링 및 군체제거를 위한 예찰제어기 개발 연구」, 목재공학 Vol.43 no.6 통권195호, 목재공학, 한국목재공학회
  • 2015, Yoon Minchul, Kim Dae-Woon, Choi Jong-il, Chung Yong-Jae, Kang Dai-Ill, Hoon Kim Gwang, Son Kwang-Tae, Park Hae-Jun, Lee Ju-Woon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Korean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Vol.115, PERGAMON-ELSEVIER SCIENCE LTD
  • 2015, 이민영, 박희문, 정용재 「공주 송산리 6호분에서 분리한 진균의 생화학적 특성 분석 및 생장제어 연구」, 보존과학회지 Vol. 31 No.3,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5, 유지아, 조하진, 한예빈, 이현주, 이상진, 정용재 「플라스틱 작품 보존을 위한 열화 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Vol.31 No.2,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5, 김대운, 정용재 「화재방제구역에 따른 목조문화재 생물손상 및 생물위험도 평가」, 목재공학, 한국목재공학회
  • 2014, 유지아, 김지은, 한예빈, 이상현, 정용재 「전통 편금사 복원 및 재현을 위한 재료 특성 비교 연구」, 보존과학회지 Vol.30 No.3,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4, 김대운, 김철웅, 한성희, 정용재, 한규성 「국내 목조건축물 단청의 방염제 처리에 따른 영향 및 탐지방법 연구」, 목재공학 제42권 제4호, 한국목재공학회
  • 2014, 이민영, 김대운, 정용재 「공주 송산리 고분 내 미생물 분포 및 보존환경 연구」, 보존과학회지 Vol.30 no.2,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4, 유지아, 정용재, 함승욱 「플라스틱류 작품의 동정 기술 연구」, 분석과학 Vol.27 no.2, 한국분석과학회
  • 2014, 김대운, 김철웅, 한성희, 정용재, 한규성 「Flame Retardant Treatment`s Effects and Detection Method on Wooden Buildings`` Pigment Layer (Dan-cheong) 」, 목재공학 Vol.42 No.4, 한국목재공학회
  • 정용재, 이상헌, 정선혜, 조하진 「부여 나성 복원을 위한 기초석의 과학적 분석과 대체석 검토」, 부여학, 한국고도육성포럼부여지회
  • 2013, 정용재, 김지은, 유지아, 정선혜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도금층 분석 연구」, 전통문화연구 Vol.12,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2013, 유지아, 정선혜, 정용재, 심연옥, 이현주 「조선시대 노부행렬에 사용된 의장물의 직물 특성 및 재질 분석」, 고궁문화 No.6, 국립고궁박물관
  • 2013, 정선혜, 유지아, 정용재, 심연옥 「중국과 한국 전통금사 금속의 과학적 분석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Vol.37 No.6, 한국의류학회
  • 2013, 정용재, 유지아, 강대일 「플라스틱 작품의 보존 가치 및 세척제와 접착제의 효능 평가」, 보존과학회지 Vol.29 No.2,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3, 박지혜, 정선혜, 김익주, 정용재 「젤라틴(아교)의 물성에 따른 단청 도막의 성능비교 연구」, 보존과학회지 Vol.29 No.1,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2, 강소영, 정용재, 임진아 「세신 정유추출물의 목재부후균과 궐련벌레에 대한 항진균 및 살충활성」, 보존과학회지 Vol.28 No.4,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정용재, 「천연살생물제를 이용한 대량 훈증처리 기술의 효능 및 안정성 연구」, 문화재보존연구, 서울역사박물관
  • 2011, 최종일, 정용재, 강대일, 이규식, 이주운 「Effect of radiation on disinfec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paper, Hanji」, 물리학·화학 Vol.81 No.8, PERGAMON-ELSEVIER SCIENCE LTD
  • 2012, 정용재, 「고체상미세추출법(SPME)을 이용한 피혁 재질로부터 발생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석기술 연구」, 보존과학회지 Vol.28 No2,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2, 정선혜, 유지아, 최찬호, 정용재 「대한민국 대통령기록관 대통령기록물의 보존 방안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0, 한국전통문화연구소
  • 2012, 양희제, 정용재, 정선혜, 김덕문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안전진단 및 제작기법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0, 한국전통문화연구소
  • 2012, 정용재, 김민정, 남서진, 정선혜 「소맥전분 풀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 수침기간이 2년 이하인 풀을 중심으로-」, 펄프종이기술 Vol.44 No.2 통권 145호, 한국펄프·종이공학회
  • 2011, 심연옥, 정용재, 유지아, 남궁승 「부여 능산리 사지 출토 백제 면직물연구」, 문화재 Vol.44 No.3, 국립문화재연구소
  • 2011, 윤민철, 정용재, 강대일, 김익주, 김광훈, 이윤종, 이주운, 최종일 「목재 유물 돈궤의 미생물 제어를 위한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한 감마선 조사 연구」, 보존과학회지 Vol.27 No.2,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0, 최종일, 윤민철, 정용재, 강대일, 김광훈, 이주운 「방사선 조사가 한국전통한지의 미생물 생장과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보존과학회지 Vol.26 No.4,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0, 이선조, 이혜윤, 조경실, 정용재 「전통 염색 재료를 활용한 기능성 종이 연구」, 보존과학회지 Vol.26 No.4,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10, 양희제, 정용재, 정선혜 「황룡사지 석재유구의 보존과학적 상태조사연구」, 전통문화논총 Vol.8,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2010, 김대운, 정선혜, 이상환, 정용재 「극초단파(Microwave)를 이용한 흰개미 탐지기술 적용연구」, 보존과학회지 Vol.26 No.1,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09, 이민영, 정선혜, 김은송, 김대운, 정용재 「목조문화재 가해 미생물의 형태학적 특성 및 가해위험도 연구」, 보존과학연구 통권 제30호,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8, 정용재, 강소영, 최윤아 「오동나무상자의 향균활성 분석 및 활성 증진을 위한 천연 살생물제 적용연구」, 보존과학회지 Vol.24,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08, 임진아, 최윤아, 정미화, 강소영, 정용재 「약용식물 17종 메탄올 추출물의 유기질문화재 생물학적 열화원에 대한 항진균 및 살충활성조사」, 보존과학연구 통권 제29호,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8, Lattuati-Derieux Agnès.Egasse Céline.Regert Martine.정용재.Lavédrine Bertrand, 「Characterization and degradation pathways of ancient Korean waxed papers」, 문화연구 Vol.10 No.3, ELSEVIER FRANCE-EDITIONS SCIENTIFIQUES MEDICALES ELSEVIER
  • 2008, 지상현, 정용재, 서민석 「분묘 유적지 출토 인골에 대한 고고유전학 연구」문화재 Vol.41 No.1,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8, 임진아, 최윤아, 정미화, 강소영, 정용재 「국내산 수목 추출물의 항진균 및 살충활성」, 보존과학회지 Vol.23,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08, 지상현, 김윤지, 정용재, 서민석, 박양진 「아산 명암리 출토 인골의 고유전학적 연구」, 보존과학회지 Vol.23,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07, 강소영, 최윤아, 정용재 「목재문화재 보존을 위한 수목추출물의 부위별 생리활성 탐색」, 보존과학연구 통권 제28호,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7, 지상현, 박지희, 서민석, 홍종욱, 정용재 「출토 인골의 분자유전학 및 조직학적 분석연구」, 보존과학연구 통권 제28호,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7, 김진형, 정용재, 김사덕 「석조문화재 오염물 제거방안의 표준화 수립 및 가치정립」, 보존과학연구 통권 제28호,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7, 정용재, 최정은, 이규식 「종이 손상과 보존기술에 대한 한,불 교류연구」, 보존과학연구 통권 제28호,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4, 서민석, 김민희, 정용재 「고대토양의 과학적 분석에 대한 고찰」, 문화재 Vol.37,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4, 정소영, 이혜윤, 정용재, 홍정기, 엄두성 「조선왕조실록밀납본의 보존상태 조사」, 보존과학연구 Vol.37,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3, 정용재, 서민석, 이규식, 한성희 「석조문화재의 생물학적 손상원인 및 보존방안」, 보존과학연구 24집,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3, 서민석, 정용재, 이규식, 박기원 「시흥 목감동 출토인골의 유전자 분석」, 보존과학연구 24집,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3, 양희제, 정용재, 김사덕, 김광훈 「익산 미륵사지석탑 생물처리제 적용방안 연구」, 보존과학연구 24집,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2, 정소영, 이규식, 정용재 「해인사 흰개미 모니터링 및 방제방안」, 보존과학연구 Vol.23,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2, 이혜윤, 정용재, 이규식, 한성희 「목조건조물 상량문의 보존처리 및 실례」, 보존과학연구 Vol.23,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1, 정용재, 이규식, 한성희, 강대일, 이명희 「오향성분의 살균 및 살충효과」, 보존과학회지 Vol.10 No.1 통권 제13호,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001, 이규식, 정소영 ,정용재 「목조건조물의 흰개미 모니터링 방법 및 방제방법」, 보존과학연구 22, 국립문화재연구소
  • 정용재, 이명희, 강대일, 이규식, 한성희 「천연악제로부터 문화재보존용 방충방균제 개발연구」, 보존과학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0, 이혜윤, 정용재, 이규식, 한성희 「온· 습도 변화에 따른 양지의 손상원인 및 보존방안연구」보존과학연구 21,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0, 이규식, 정소영, 정용재 「목조문화재의 원형보존을 위한 충해 방제방안」, 보존과학연구21, 국립문화재연구소
  • 1999, 이혜윤, 정용재, 이규식, 한성희 「한지의 산성도 측정을 위한 비파괴적 방법의 적용」보존과학연구20, 국립문화재연구소
  • 1998, S K Kang, Y J Jung, C H Kim, C Y Song 「Extracellular and Cytosolic Iron Superoxide Dismutase from Mycobacterium bovis BCG」, Clinical and diagnostic laboratory Vol.5 No.6,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 1998, 한성희, 이규식, 정용재, 이혜윤 「종이의 산성화가 미생물의 분해능에 미치는 영향」, 보존과학연구 Vol.19, 국립문화재연구소
  • 1998, 한성희, 이규식, 정용재 「기림사 소장 지류유물의 보존상태조사」, 보존과학연구 19, 국립문화재연구소
  • 1998, 한성희, 이규식, 정용재 「한국서식 흰개미의 특성과 방제」, 보존과학연구 19,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비수혜

  • 2016, 2016 조선왕조실록 보존을 위한 보존환경 평가 및 관리시스템 구축 연구
  • 2016, [국립박물관 보존과학 발전 방안연구] - 보존과학센터 건립 기본계획연구
  • 2015, 사찰벽화 보존처리 기술 연구를 위한 채색층 손상진단 및 고착재료 기초연구
  • 2015~16, 2015년 조선왕조실록 보존을 위한 보존환경 평가 및 관리시스템 구축
  • 2015,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상시모니터링 용역
  • 2015, 석조문화재 생물막 제거제 제형 개발
  • 2015, 토양처리제 적용기술 개발
  • 2015, 목조문화재 화재예방 방염제 성능평가 및 도포기준 연구(3)
  • 2014, 목조문화재 화재예방 방염제 성능평가 및 도포기준 연구(2)
  • 2014, 천연약재를 이용한 석조문화재 생물막 제거 연구
  • 2014, 여주보 설치 후 문화재의 환경영향평가에 따른 보존방안 연구(3)
  • 2014~15,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및 장경판전 보존관리 연구
  • 2014~15, 경판 과학적 보존을 위한 보존환경 조사 연구
  • 2013, 목조문화재 화재예방 방염제 성능평가 및 도포기준 연구1
  • 2013, 기록물 소독체계 진단 및 개선방안 연구
  • 여주보 설치에 따른 주변 문화재의 환경영향 평가 연구2
  • 2013, 문화재 안전관리 사례조사 용역
  • 2012, 대형전돌 제작특성 연구
  • 2012, 여주보 설치에 따른 주변 문화재의 환경영향 평가 연구
  • 2012~13, 부여 능산리고분군 동하총 환경모니터링시스템 구축
  • 2012, 부여나성 복원을 위한 자연과학적 조사
  • 2012, 문화재 생물피해 방제매뉴얼 개발
  • 2011, 숭례문 전통단청을 위한 교착제 연구
  • 2011, 소장유물(노부류)보존처리를 위한 상태조사 및 과학적분석 연구
  • 2011~12, 송산리 6호 고분벽화 보존방안 연구
  • 2011, 대통령기록관 설계반영 요구서 작성
  • 2010, 부여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안전진단
  • 2009~10, 문화재보존용방충방균제『BOZONE』성능개선연구
  • 2009, 목조문화재의 생물피해 방제기술 개발
  • 2009, 행정박물 보존처리 기술 연구 개발

한민수 교수

  • 직위(직명) : 부교수
  • 학사학위 : 조선대학교 자원공학과
  • 석사학위 : 조선대학교 자원공학과 공학석사
  • 박사학위 : 중앙대학교 과학학과 이학박사
  • 연구실 : 대학원 종합연구관 213-2호
  • 전화번호 : 041-830-7381
  • 메일보내기

저서

  • 안료 비파괴 길라잡이

논문

  • Provenance Study through Analysis of Microstructural
  • Characteristics Using an Optical Microscope and Scanning
  • Electron Microscopy for Goryeo Celadon Excavated from the Seabed 등

특허

  • 도토기 산지 추정 시스템 및 방법

황종국 교수

  • 직위(직명) : 교수
  • 학사학위 : 서울대학교 건축학과(87 학사)
  • 석사학위 : 서울대학교 건축학과(90 석사)
  • 박사학위 : 서울대학교 건축학과(99 박사)
  • 담당과목 : 전통건축내진설계, 철근콘크리트설계, 전통건축결구, 전통목구조디지털모델링, 졸업논문지도, 전통건축구조, 전통목구조디지털설계, 건축구조해석, 유산 보수및법령

저서

  • 엔지니어를 위한 내풍공학, 기문당

논문

  • 정성진, 황종국 외 4인, “전통목구조 해석을 위한 모형화 기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2005.12
  • 황종국 외 5인, “힘의 흐름을 고려한 전통목조가구의 구조형식 분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2006.2.
  • 이영욱, 황종국 외 4인, “전통 목구조 시스템의 보 방향 프레임의 해석 모델링”,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2006.3.
  • 김남희, 황종국 외 4인, “퍼지이론에 의한 전통목구조 시스템의 안정성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22권 11호, 2006.11.
  • 이영욱, 홍성걸, 황종국, 배병선, “전통목구조 시스템에서 장부이음을 가진 도리방향 골조의 수평하중 저항능력”,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23권 2호, 2007.2.
  • 이영욱, 홍성걸, 황종국, 정성진, “도리방향 골조의 반턱이음 접합부의 횡하중 저항능력에 관한 실험,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제24권 제7호, pp.29-36, 2008.7.
  • 황종국, 홍성걸, “전통목구조 기둥-창방 접합부 인장내력과 파괴모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제24권 제11호, pp.41-52, 2008.11.
  • 황종국, 석탑 상륜부 진동 특성과 풍력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풍공학회논문집, 제12권 제2호, pp.97-104, 2008.8.
  • 박두선,허창회,황종국, 경상북도에서 태풍에 의한 영향과 유형별 진로 특성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제18권 제4호, pp.525-532, 2008.12.
  • 황종국,홍성걸,이영욱,정성진, 진동 폭에 따른 전통목구조의 고유진동수 특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제25권 제5호, pp.3-10, 2009.5.
  • 황종국, 한옥의 팔작 및 맞배지붕 풍압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풍공학회논문집, 제14권 제2호, pp.79-85, 2010.8.
  • 김경택,황종국, 송국리 54지구 고상건물의 형식 추론(I)-목재가공기술을 중심으로-, 호서고고학회지, 제23권, pp.181-211, 2010.10.
  • 이선영,황종국,홍성걸, 전통목조주먹장접합부에서 주먹장 각도가 파괴모드에 미치는 영향과 역학적 모델링,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26권 제12호, pp.35-44, 2010.12.
  • 황종국, 전통목조 주먹장 접합부 해석을 위한 3D 유한요소 모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27권 제11호, pp. 29-36, 2011.11.
  • 황종국,이영욱,황재승, 유한요소법에 의한 전통목구조 프레임의 수평내력 해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29권 제8호, pp. 35-44, 2013.8.
  • 황종국, 전통목조접합부에 기반한 신접합부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5권 제5호, pp. 201-208, 2013.10.
  • 김형준,황종국, 삼각함수에 의한 전통목조건축 갈모산방 외곽선 수식화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5권 제5호, pp.209-214, 2013.10.
  • 이영욱,황종국,황재승, 전통목구조 프레임의 수평내력 모델의 평가,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5권 제6호, pp. 211-217, 2013.12.
  • 황재승,황종국,이영욱, 현장 계측에 의한 단층구조 전통목구조물의 고유주기 측정,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5권 제6호, pp. 219-226, 2013.12.
  • 고영남,김홍진,황재승,황종국,최선영,조봉호, 강막작용을 가정한 전통 목조건축물 현장계측방법의 유효성 검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30권 제6호, pp. 19-26, 2014.06.
  • 황종국,배동훈, 통계적 기법에 의한 목조건축문화재 성능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31권 제10호, pp.29-38, 2015.10.
  • 황종국,황재승, 진동대를 이용한 역사적 지진 작용 전통목구조(봉정사 대웅전)의 동적 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31권 제11호, pp.37-46, 2015.11.
  • 황종국,권양희,배동훈, 세부목골조로 구성된 전통목골조 벽체 전단저항능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35권 제3호, pp.11-18, 2019.03.
  • 강성훈,권양희,황종국,홍성걸, 황토벽돌의 재료구성 및 공극률이 압축강도와 내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31권 제4호, pp. 347-355, 2019.08.
  • 강성훈,황종국,권양희, 고성능 감수제가 혼입된 석회 모르타르의 탄산화 반응 및 강도발현 특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35권 제7호, pp. 179-186, 2019.07.
  • 강성훈,황종국,권양희, 소화에 사용되는 물의 양이 건축문화재 보존용 수제 소석회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35권 제2호, pp. 21-28, 2019.02.

특허

  • 황종국, 특허 제10-1216825호, “전통 목조 건축 부재 접합 구조”, 출원일:2012년7월5일, 등록일:2012년12월21일
  • 황종국, 이학원, 특허 제10-1263630호, “평주형 전통목조건축부재 접합구조”, 출원일:2012년11월22일, 등록일:2013년05월06일
  • 황종국, 이학원, 특허 제10-1263628호, “우주형 전통목조건축부재 접합구조”, 출원일:2012년11월22일, 등록일:2013년05월06일
  • 황종국, 이학원, 특허 제10-1263629호, “회첨형 전통목조건축부재 접합구조”, 출원일:2012년11월22일, 등록일:2013년05월06일
  • 황종국, 특허 제10-1420968호, “평주형 전통목조건축부재 접합구조”, 출원일:2013년02월12일, 등록일:2014년7월11일
  • 황종국, 김형준, 특허 제10-1447355호, “목조건축의 기둥-초석 연결장치”, 출원일:2013년03월14일, 등록일:2014년9월26일
  • 황종국, 김형준, 특허 제10-1285964호, “목조건축의 판형 기둥 연결장치”, 출원일:2013년04월12일, 등록일:2013년07월08일
  • 황종국, 특허 제10-1604194호, “함수식을 이용한 한옥 지붕 부재의 모델링 방법”, 출원일:2014년09월22일, 등록일:2016년03월10일
  • .
  • * 상표
  • 황종국, 상표 제40-1079138호, “커몬테크”, 제06류 건축용 금속재 보강재료등 17건, 출원일:2014년1월14일, 등록일:2015년1월05일
  • 황종국, 상표 제40-1079139호, “커몬테크”, 제09류 광학기기(안경과 사진기기는 제외)등 10건, 출원일:2014년1월14일, 등록일:2015년1월05일
  • .
  • * 서비스표
  • 황종국, 서비스표 제41-03046758호, “커몬테크”, 제42류 건축설계정보제공업등 14건, 출원일:2014년1월14일, 등록일:2014년11월17일

수상내역

  • 대한건축학회 학술상 수상, 2016.04.30
  • 국토교통부 장관상 수상, 2018.12.31.

기타경력

  • 현재 행정안전부 풍수해종합계획 검토전문가
  • 현재 (사)한국풍공학회 회장
  • (전)대한건축학회 대전세종충남지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