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용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과 교수
(
)
김 지은 ? 유지아 ? 정선 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예방보존연구소
(
)
08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도금층 분석 연구
서론
.
Ⅰ
연구방법
.
Ⅱ
연구대상
1.
연구방법
2.
연구결과
.
Ⅲ
섬유 동정
1.
칠 분석
2.
금박도금층
3.
결론 및 고찰
.
Ⅳ
국문요약
1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소조기법으로 만들어진 불상으로 조선중
기 불상 가운데 큰 규모의 불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량사 삼존불에 대한 도금층
.
분석을 통한 제작방법 및 재료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도금층에 사용된 섬
.
유는 마섬유임을 확인하였고
을 통한 칠 분석 결과 옻칠임을 알 수 있었다
, FT-IR
.
또한 도금층 단면 관찰을 통하여 섬유층 토분층 칠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
,
,
겹의 칠을 바른 것을 확인하였다 도금층 전반에 대한 원소성분 분석결과 알루
7
.
미늄 규소 칼슘이 검출됨에 따라 토회층에 옻칠과 광물을 혼합하여 층을 올리
,
,
고 순금박을 이용하여 개금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
*
김지은 ? 유지아 ? 정선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예방보존연구소
:
.
정용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
, iamchung@nuch.ac.kr,
+82-41-830-7365
08.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도금층 분석 연구
서 론
.
Ⅰ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그림
은 보물 제
호로 무량사 극락
(
1)
1565
전에 봉안되어 있다 무량사는 부여군 만수산 남쪽에 위치한 사찰로 무량사 극락
.
,
전 보물
호 에 있는 아미타삼존불은 조선시대인
인조 년 무렵에 제
(
356 )
1633(
11 )
작되었다 주존불인 아미타여래좌상의 높이는
로 현존하는 조선 중기 불상
.
5.5m
가운데 충청도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불상이다.1
소조불상은 나무와 새끼줄을 이용하여 형태를 제작한 토대에 점토를 바르고
자연건조 시킨 상태에 건칠기법으로 도금한 불상을 말한다 소조불상의 제작방법
.
에는 소성법과 자연건조법 두 가지가 있다 소성법은 기본 형태에 점토로 빚어 성
.
형한 후 불에 구운 것이며 자연건조법은 성형 후 자연스럽게 건조시키는 방법이
,
다 소성법은 대량으로 소형불상을 제작할 때 사용하며 자연건조법은 대형불상
.
,
을 제작할 때 사용되었다 자연건조법은 자연건조 시 발생할 수 있는 흙의 터짐
.
및 박락에 대하여 종이나 천을 덧대어 예방하였다.2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의 경우
년 안전진단 결과 아미타
2010
여래좌상과 대세지보살상의 상호에 균열이 발생되었으며 균열원인 규명을 위한
,
1
두산백과
2
전경미 조선후기 호남 북서부지역 소조상 제작기법 및 보존에 대하여
강좌미술사
호 한국미술사연구
,
,
32 ,
「
」 『
』
소, 2009, pp.179-209.
그림 1 부여 무량사 소장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관음보살
아미타여래
대세지보살
.
( :
,
:
,
:
)
左
中
右
재료물성 및 제작기법 등에 대한 연구필요성이 대두되었다.3 본 연구는
년
2012
진행된 무량사 소조불상 개금 중 탈락된 도금층 시편을 취하여 제작방법 및 재료
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과거 국내에서는 개금보수시 비용절감을 위하여 옻
.
칠 대신 카슈
와 금박 대신 가금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cashew)
.
연구에서는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의 도금층을 분석함으로써 불상 보수
재료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연 구방 법
II.
연구대상
1.
무량사는 충청남도 만수산에 위치한 사찰로 극락전은 보물
로 지정되어있으
365
며 극락전 내 소조삼존불상은 보물
호로 지정되어있다 무량사 아미타여래
,
1565
.
삼존좌상은
년
월부터 개금보수가 진행
2012
10
4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탈락된
,
시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림
(
2).
연구방법
2.
개금과정에서 박락된 섬유편을 채취하여 실체현미경
을
(Nikon, SMZ-1500, JP)
이용하여 섬유조직을 파악하였으며 광학현미경
을
,
(Nikon, ECLIPSE LV100, JP)
이용하여 측면과 단면을 관찰하였다 단면형태 분석을 위하여 섬유 올을 채취한
.
후 에폭시
몰딩하고 연마기
(Epofix kit, Struers , DK)
(LaboForce-1, Strues ,
社
社
3
양희제 정용재 정선혜 김덕문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안전진단 및 제작기법 연구
전통문
,
,
,
,
,
「
」 『
화연구
호 전통문화연구소
10 ,
, 2012, pp.146-155.
』
4
부여군청 시행으로 아트텍 보존연구소에서 보존처리공사가 진행되었다(2012.10.22.~2013.8.28).
종류
목적
방법
섬유
섬유동정
형태적분석 실체현미경
:
(Nikon , SMZ-1500, JP),
社
광학현미경 (Nikon , ECLIPSE LV100, JP)
社
표면칠 동정
화학적분석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
:
(FT-IR, BRUKER OPTICS , ALPHA Series, GER)
社
표면
도금층
단면관찰 및
성분분석
형태적분석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
,
화학적분석 주사전자현미경 에너지분산 선 분광분석기
:
/
X
(SEM-EDS, JEOL , JSM-5500 LV / INCA , X-Stream, JP)
社
社
표
분석방법
1.
08.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도금층 분석 연구
를 사용하여 표면을 연마하였다
DK)
.
채취한 섬유 위에 발라진 칠을 분석하기 위하여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
를 이용하였다
은 빛을 조사하였을 경우 분자의 진동 신축의 스펙
(FT-IR)
. FT-IR
,
트럼을 측정하여 물질의 특성을 분석한다
분광분석을 위하여
. FT-IR
ALPHA
를 이용하였으며 시료에 대한 표준시료는 옻
Series(BRUKER OPTICS , GER)
,
社
칠 원주산 칠 카슈 동방카슈칠공업
제품 로 표준시료는 과거 국내에서 옻칠
(
),
(
)
社
의 대체품목으로 카슈를 사용했던 것을 참고하여 선정하였다 표준시료를 스포이
.
드로 취하여
접촉면 바닥에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ATR-Crystal
.
소조불에서 박락된 도금층은 단면관찰을 통하여 섬유층 위에 발라진 칠의 기
법과 횟수 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시편 일부를 채취하여 에폭시 몰딩 후
표면을 연마하였다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
.
(SEM; JSM-5500 LV, JEOL ,
社
을 통해 단면을 관찰하였으며 탄소 코팅 후 에너지 분산
선 분광분석기
JP)
X
로 단면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는 측정전
(EDS; X-Stream, INCA , JP)
. SEM-EDS
社
압
측정거리
의 조건하에서 진행하였다
20kv,
20mm
.
그림
관음보살 개금모습
아미타여래 개금모습
개금과정 중 탈락된 섬유시편
개금과정 중 탈락된 도금층
2. (A)
, (B)
, (C)
, (D)
연 구 결과
III.
섬유 동정
1.
섬유에 대한 기초조사를 위하여 실체현미경을 통하여 표면 및 조직을 관찰하였
다 섬유 표면에는 광물이 혼합된 칠이 발라져있으며 뒷면에서는 굵은 섬유 올이
.
,
평직으로 짜여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림
(
3, 4).
섬유 올을 채취하여 광학현미경을 통하여 측면과 단면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측면에서는 길이방향의 세로줄이 보이며 길이방향의 직각으로 여러 개
.
,
의 마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림
단면관찰 결과 원만한 타형의 중공을 확
(
5).
인하였다 그림
(
6).
칠 분석
2.
섬유에 발라진 칠의 성분에 대한
분석 결과 우루시올의 곁사슬이 가지는
FT-IR
,
메틸렌기의
신축진동에 기인하는 흡수가
에서 관찰되었다
C-H
3300-2700cm-1
.
또한
부근의 메틸렌기
의 예리한 피크 등이 관찰됨
2920cm-1, 2850cm-1
(C-H)
에 따라 옻칠의 일종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특히
과
부
.
1237cm-1
690-870cm-1
그림
섬유표면관찰
배율
표면
뒷면
3.
(20
,
:
,
:
)
左
右
그림
섬유표면관찰
배율
표면
뒷면
4.
(50
,
:
,
:
)
左
右
그림
섬유 측면관찰
배율
5.
(400
)
그림
섬유 단면관찰
배율
6.
(500
)
08.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도금층 분석 연구
근의 파장에서 관찰되는 카슈의 흡광영역이 시료의 흡광영역과 일치하지는 않았
다 그림
(
7).
금박도금층
3.
금박도금층에 대한 단면관찰 결과 섬유층 위로 토분층이 존재하였으며 그 위로
,
약 겹의 칠층이 관찰되었다 그림
7
(
8, 9).
단면 원소성분분석 결과 알루미늄
규소
칼슘
등의 성분이 층
,
(Al),
(Si),
(Ca)
위에 전반적으로 분포 표
그림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금박층에 대한
(
3,
10)
.
분석 결과 금
이 높은 순도로 검출되었다 표
그림
(Au)
(
3,
11).
그림
칠에 대한
분석 결과
7.
FT-IR
그림
도금층 단면관찰
8.
영상현미경
배율
광학현미경
배율
( :
100
,
:
50
)
左
右
그림
시료
의 상층부
9.
Layer1
(X100,
금박층
칠층
토회층
G:
, L:
, F:
)
결 론 및 고찰
.
Ⅳ
부여 무량사 소조불상 도금층에 사용된 섬유표면에는 공극을 메우기 위한 토회층
이 확인되었으며 뒷면관찰을 통하여 평직으로 직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섬
,
.
유 동정결과 길이방향의 세로줄과 측면을 가로지르는 마디가 관찰되었으며 단면
,
의 원만한 타형 및 중공이 확인됨에 따라 마
섬유의 일종으로 확인된다
( )
.
麻
섬유표면의 칠 분석을 위한
분석 결과 일반적으로 카슈 도료는 다당
FT-IR
,
류
의
과
에서의 넓게 두 개의 흡수가 명백
(polysaccarides)
1070cm-1
970cm-1
하게 보이나 옻칠은
부근 가까이에서 흡수가 관찰된다
1000cm-1
.5
본 연구에서
는 이와 마찬가지로 카슈 분석시
에서 흡수되는 것을
1080-1070cm-1, 970cm-1
관찰할 수 있었으며
과
부근의 파장에서 관찰되는 카
, 1237cm-1
690-870cm-1
슈의 흡광영역이 시료의 흡광영역과 일치하지 않았다 대조군 옻칠 과 시료의 스
.
(
)
5
신성필 재현실험을 기초한 옻칠 도막의 보존과학적 특성평가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
, 2008.
「
」
Element
O
Mg
Al
Si
Cl
Ca
Au
A
Weight
(%)
68.99
2.35
12.58
5.81
3.05
7.22
Atomic
(%)
80.63
1.81
8.71
3.87
1.61
3.37
B
Weight
(%)
-
-
-
-
-
-
100.0
Atomic
(%)
-
-
-
-
-
-
100.0
표
도금층
분석 결과
3.
SEM-EDS
그림
단면
분석결과
10.
(A) EDS
그림
금박층
분석결과
11
(B) EDS
08.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도금층 분석 연구
펙트럼 비교결과
부근의 파장에서 페놀성 수산기
에 기
3600-3200cm-1
(-OH)
인하는 넓은 흡수대가 일부 일치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
2920cm-1,
부근의 메틸렌기
의 예리한 피크 등이 관찰됨에 따라 섬유표면
2850cm-1
(C-H)
의 칠은 옻칠로 추정된다.
불상 표면에서 채취한 도금층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섬유층 위로 토분층 칠
,
,
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금층은 토회칠을 이용하여 섬유의 공극을 메워주고 두
.
께를 올렸으며 총 겹의 칠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금층 전반에 대한 원소성분
,
7
.
분석 결과 알루미늄
규소
칼슘
이 검출됨에 따라 토회층은 옻칠과
,
(Al),
(Si),
(Ca)
광물 토분 탄산칼슘 등 의 혼합 물질로 추정되며 개금층은 순금
을 사
(
,
)
,
(99.9%)
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무량사의 개금보수는 옻칠 순금박 마 섬유 등의 전통재료
,
,
를 사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상의 개금보수는 불상 보존 및 관리의 기초
.
적인 작업으로 문화재의 가치와 보존을 고려한 재료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현재
.
불상 보수는 과거 진행해오던 전통방식을 그대로 이어가는 실정으로 개금 및 보
수에 사용하는 재료와 방식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
개금 및 불상 보수 재료연구에 대한 기초적인 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 다른 불상들의 도금층 연구를 통하여 과거 불상 보수 방법에 대한
자료축적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김수철
? 이광희 ? 강형태 ? 신성필 ? 한민수 과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한 무령왕릉 목관재의 옻칠
, 「
기법 연구
보존과학회지
호 권
,
26
3 , 2010, pp.247-258.
」 『
』
두산백과
무량사 소조아미타삼존불상
, <
>
신성필
재현실험을 기초한 옻칠 도막의 보존과학적 특성평가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
,
「
」
논문
, 2008.
양희제
? 정용재 ? 정선혜 ? 김덕문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안전진단 및 제작기법
, 「
연구
전통문화연구
호 전통문화연구소
,
10 ,
, 2012, pp.146-155.
」 『
』
전경미 조선후기 호남 북서부지역 소조상 제작기법 및 보존에 대하여
강좌미술사
호
,
,
32 ,
「
」 『
』
한국미술사연구소
, 2009, pp.179-209.
조남철
? 김수철 ? 김우현 ? 신연식 평택 대추리유적출토 원삼국시대 대형옹에 사용된 접착재료
, 「
연구
보존과학회지
호 권
,
26
4 , 2010, pp.371-376.
」 『
』
08.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도금층 분석 연구
ABSTRACT
Investigation Plating Layer of Terracotta Seated Amitabha
Triad at Muryang Temple in Buyeo
Chung, Yong-Jae / Kim, Ji-Eun / Yu, Ji-A / Jeong, sun-hye
Terracotta Seated Amitabha Triad at Myryang Temple is made of soil, the largest in
mid-Joseon Dynasty. This study investigates Plating layer of Buddha, this can know about
conservation methods and materials. As a result, it is hemp that the fiber was used plating
layer. FT-IR analysis result, the resin spectrum accord with lacquer spectrum. The result of
observing cross-section through the layer, it is composed with fiber, soil and lacquer layer.
The analysis for the layer ingredients, Al, Si, Ca was detected, Soil layer is made of mixing
soil and lacquer. This study is look for basic data about materials that conserve statue of the
Budd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