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과 지속가능한 발전
- 세계유산지속가능센터Centre for World Heritag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존관리를 위해 국제적인 세계유산 교육·연구·지원 센터로 도약합니다.
세계유산과 지속가능한 발전
2015년 유엔총회에서 새천년 발전 목표(Millenium Development Goals, MDG)를 대신하는 글로벌 우선순위로서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를 수립하고 17개 분야 169개의 세부 목표를 제시하면서, SDG는 전세계적인 목표로 확산되었습니다.
2015년 유네스코에서 발표한 ‘「세계유산협약」의 이행과정에 지속가능발전 관점을 통합시키기 위한 정책(Policy for the Integration of a Sustianable Development Perspective into the Processes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이하 WH-SDP)’에서는 세계유산 협약(World Heritage Convention)은 그 자체로 지속가능한 발전과 세계인의 웰빙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음을 언급하며, ‘세계유산의 보존’이 UN의 2030 지속가능한 발전 의제에 어떻게 이바지할 수 있는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정책 보고서에서는 환경 지속가능성, 포용적 사회 개발, 포용적 경제 개발이라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3가지 차원을 강화하고, 평화와 안보가 촉진된다면,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 OUV)를 유지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유산에 대한 영향평가는 세계유산협약 당사국에서 환경 지속가능성에 기여하기 위한 사전 예방적 접근 방식으로서 제시되고 있습니다.
*출처 : UNESCO(2015), Twentieth session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States Parties to the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Item 13 of the Provisional Agenda: World Heritag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F.13: Draft Policy Document for the integration of a sustainable development perspective into the processes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WHC-15/20.GA/INF.13), UNESCO.
한국의 세계유산
- 등재 현황 : 문화유산 14, 자연유산 2
우리나라는 1995년 ‘석굴암과 불국사‘, ‘해인사장경판전’, ‘종묘’를 시작으로 2024년 기준 총 16개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